SEL-10의 화학적 억제제는 표적 단백질의 유비퀴틴화 및 후속 분해를 촉진하는 단백질의 능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에모딘은 프로테아좀 효소의 활성을 변화시켜 유비퀴틴-프로테아좀 경로를 방해하여 정상적으로 분해되어야 할 단백질이 축적되도록 유도합니다. 이렇게 축적된 단백질은 SEL-10의 기능을 간접적으로 억제합니다. 마찬가지로 클로로퀸은 리소좀 기능과 자가포식을 손상시킴으로써 SEL-10의 역할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두 과정 모두 SEL-10이 표적으로 삼는 세포 성분의 분해에 관여하기 때문입니다. MG132, 락타시스틴, 보르테조밉, 카르필조밉, 익사조밉, 오프로조밉, 에폭소미신과 같은 프로테아좀 억제제는 모두 프로테아좀이 유비퀴틴화된 기질을 분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SEL-10의 억제에 기여합니다. 이러한 억제제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단백질 분해 활성을 차단하기 때문에 SEL-10 기질의 안정화가 이루어집니다.
위타페린 A와 셀라스트롤과 같은 다른 화합물도 SEL-10의 분해 과정에 중요한 프로테아좀 활성을 방해함으로써 비슷한 효과를 발휘합니다. 커큐민 역시 프로테아좀을 억제하여 세포 내 SEL-10 기질 수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축적은 SEL-10이 이러한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아 분해하는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화학적 억제제의 공통점은 정상적인 유비퀴틴-프로테아좀 경로를 방해하여 SEL-10이 일반적으로 뒤집는 데 도움이 되는 단백질의 안정화를 유도함으로써 SEL-10의 기능적 역할을 간접적으로 억제한다는 점입니다.
더보기
Items 21 to 12 of 12 total
디스플레이 라벨:
제품명 | CAS # | 카탈로그 번호 | 수량 | 가격 | 引用 | RATIN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