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published: 2025-9-8

001 800-1338-3838

SCBT Portrait Logo
Seach Input

ROR1 항체 (60-D): sc-130386

3.3(4)
리뷰 쓰기질문하기

데이터 시트
  • ROR1 항체 60-D 는 마우스 monoclonal IgG1 κ ROR1 항체, 5간행물에 인용, 이며 100 µg/ml으로 제공합니다.
  • human 기원의 ROR1의 세포 내 영역에 대해 항체 생성
  • WB와 IP으로 mouse, rat와 human origin의 ROR1을 검출할것을 권장합니다.
  • ROR1 (60-D): sc-130386무료10 µg 샘플을 신청하려면 기술지원팀 (또는 로컬 디스트리뷰터)에 연락주세요.
  • m-IgG Fc BP-HRP, 1 BP-HRP">m-IgG1 BP-HRPm-IgGκ BP-HRP는 ROR1 항체(60-D) WB 애플리케이션용입니다. 이 시약은 이제 ROR1 항체(60-D)와 함께 번들로 제공됩니다(아래 주문 정보 참조).

빠른 링크

더보기

ROR1 항체(60-D)는 마우스, 쥐 및 인간 유래의 ROR1 단백질을 WB 및 IP로 검출하는 IgG1 κ 마우스 단일 클론 ROR1 항체(NTRKR1 항체라고도 지정됨)입니다. ROR1 항체(60-D)는 비접합 항체로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ROR 계열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는 구조적으로 관련된 두 가지 단백질인 ROR1과 ROR2로 구성됩니다. 이 단백질은 세포 내 티로신 키나아제 도메인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이는 Trk 계열 키나아제, 세포 외 프리즐형 시스테인 풍부 도메인(CRD) 및 크링글 도메인과 매우 관련이 있습니다. ROR 계열은 초파리, 초파리, 제노퍼스 및 포유류와 같은 종들 사이에서 고도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ROR1과 ROR2는 모두 신경세포 분화에서 특히 강조되는 기관 형성에 관여합니다.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ALL)과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에서 ROR1의 발현 증가는 이 단백질이 이러한 질환에서 표적 면역 치료의 잠재적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ROR2는 Wnt 신호 전달 경로에 관여하며, ROR2의 돌연변이는 브라키닥틸리 B형 및 로비나우 증후군을 유발합니다.

연구용으로만 사용가능합니다. 진단이나 치료용으로 사용불가합니다.

Alexa Fluor®는 미국 오리건주 Molecular Probes Inc.의 상표입니다.

LI-COR®와 Odyssey®는 LI-COR Biosciences의 등록 상표입니다.

ROR1 항체 (60-D) 참고문헌:

  1. 발달 중 Ror 계열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의 발현과 기능: 선충, 생쥐, 인간의 유전자 분석에서 얻은 교훈.  |  Yoda, A., et al. 2003. J Recept Signal Transduct Res. 23: 1-15. PMID: 12680586
  2. 배양된 해마 신경세포에서 Ror 티로신 키나아제 수용체의 발현과 세포 내 국소화가 발달적으로 조절됩니다.  |  Paganoni, S. and Ferreira, A. 2003. J Neurosci Res. 73: 429-40. PMID: 12898527
  3. 티로신 키나아제 유사 도메인을 가진 새로운 세포 표면 수용체 계열입니다.  |  Masiakowski, P. and Carroll, RD. 1992. J Biol Chem. 267: 26181-90. PMID: 1334494
  4. 인간 B세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에서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ROR1의 독특한 세포 표면 발현.  |  Baskar, S., et al. 2008. Clin Cancer Res. 14: 396-404. PMID: 18223214
  5. 이란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 환자에서 고아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Ror1의 종양 관련 추정 항원으로서의 과발현.  |  Shabani, M., et al. 2007. Tumour Biol. 28: 318-26. PMID: 18354269
  6. 세포 표면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인 Ror1은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에서 발현되며 치료의 추정 표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Daneshmanesh, AH., et al. 2008. Int J Cancer. 123: 1190-5. PMID: 18546292
  7. B세포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의 다양한 하위 세트에서 고아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ROR1)와 윌름스 종양 유전자 1(WT1)의 발현 프로파일.  |  Shabani, M., et al. 2008. Leuk Lymphoma. 49: 1360-7. PMID: 18604725
  8. TAK1(TGF-베타 활성화 키나아제-1)과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Ror2의 Wnt 리간드 의존적 상호작용은 정식 Wnt 신호 전달을 조절합니다.  |  Winkel, A., et al. 2008. Cell Signal. 20: 2134-44. PMID: 18762249
  9. 항암 치료의 표적으로서의 티로신 키나제 ROR1.  |  Zhao, Y., et al. 2021. Front Oncol. 11: 680834. PMID: 34123850
  10. 암에서 ROR1에 의해 활성화되는 신호 전달 경로.  |  Quezada, MJ. and Lopez-Bergami, P. 2023. Cell Signal. 104: 110588. PMID: 36621728
  11. IGFBP5는 ROR1/HER2-CREB 신호 전달 축을 통해 교모세포종 침입을 촉진하는 ROR1 리간드입니다.  |  Lin, W., et al. 2023. Nat Commun. 14: 1578. PMID: 36949068
  12. 림프성 암에 대한 ROR1.  |  Schuster, SJ. 2022. NEJM Evid. 1: EVIDe2100014. PMID: 38319244

주문정보

제품명카탈로그 번호 단위가격수량관심품목

ROR1 항체 (60-D)

sc-130386
100 µg/ml
$333.00

ROR1 (60-D): m-IgG Fc BP-HRP 번들

sc-537328
100 µg Ab; 10 µg BP
$354.00

ROR1 (60-D): m-IgGκ BP-HRP 번들

sc-534569
100 µg Ab; 40 µg BP
$354.00

ROR1 (60-D): m-IgG1 BP-HRP 번들

sc-545139
100 µg Ab; 20 µg BP
$354.00

I am using ROR1 (60-D): sc-130386 antibody for immunoprecipitation, how much antibody should I use?

Asked by: DefinitelyNotMatt
Thank you for your question. We recommend using 1–10 µl (i.e., 0.2–2 µg) of antibody with 1 ml of cell lysate. However, optimal antibody concentra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itration. Please find our full immunoprecipitation protocol here: https://www.scbt.com/scbt/resources/protocols/immunoprecipitation-western-blots
Answered by: Technical Support
Date published: 2017-03-24
  • y_2025, m_8, d_31, h_8CST
  • bvseo_bulk, prod_bvqa,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questionsanswers, tq_1
  • loc_ko_KR, sid_130386, prod, sort_[SortEntry(order=LAST_APPROVED_ANSWER_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Content, 119ms
  • QUESTIONS, PRODUCT
Rated 5 out of 5 by from Good for Western BlotThis antibody works in human cell line HepG2. -SCBT QC
Date published: 2023-09-14
Rated 3 out of 5 by from Better for IHCWe compared with other antibodies and this one was more suitable for IHC, no so for Western blot.
Date published: 2017-08-17
Rated 1 out of 5 by from Not work for WB, do not recommed.We compared our wt and ROR1 KO cells on WB. The ab form cell signal showed, in wt cells, a clear band which disappeared in ROR1 KO cells. However, this antibody detects no band in both cell line even we used it @ 1:100 dilution.
Date published: 2017-03-16
  • y_2025, m_8, d_31, h_8
  • bvseo_bulk, prod_bvrr,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reviews, tv_1, tr_3
  • loc_ko_KR, sid_130386, prod, sort_[SortEntry(order=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Reviews, 20ms
  • REVIEWS, PRODUCT
ROR1 항체 (60-D) is rated 3.3 out of 5 by 4.
  • y_2025, m_8, d_31, h_8
  • bvseo_bulk, prod_bvrr,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reviews, tv_1, tr_3
  • loc_ko_KR, sid_130386, prod, sort_[SortEntry(order=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AggregateRating, 174ms
  • REVIEWS,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