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NRF4의 화학적 활성화제는 다양한 신호 전달 경로에 관여하여 이 단백질의 활성을 조절합니다. 예를 들어 아연은 아연-핑거 도메인에 결합하여 ZNRF4의 구조적 유지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이는 기능적 활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HIR99021과 같은 글리코겐 신타제 키나제 3 억제제는 GSK3를 억제하여 베타 카테닌의 활성화로 이어지며, 이는 ZNRF4와 상호 작용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분자로 Wnt 신호 경로에 관여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마찬가지로 740 Y-P와 같은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아제 활성화제는 PI3K의 활성을 향상시켜 AKT 경로를 트리거하고 ZNRF4의 인산화 및 활성화를 유도합니다. MAPK 활성화제인 아니소마이신은 캐스케이드를 시작하여 궁극적으로 MAPK 신호 경로를 통해 ZNRF4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단백질 키나아제 A 활성화제 역할을 하는 포스콜린과 같은 화합물은 cAMP 수준을 높이고, 이는 다시 PKA를 활성화하여 ZNRF4의 인산화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경로는 단백질 키나아제 C 활성화제인 포볼 12-미리스테이트 13-아세테이트(PMA)를 포함하며, 이는 PKC를 활성화하고 또한 인산화하여 ZNRF4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이오노마이신과 같은 이오노포어를 통해 칼슘이 유입되면 칼슘/칼모둘린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가 활성화되어 인산화되어 ZNRF4 활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디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과 같은 약제에 의한 mTOR 신호의 활성화는 ZNRF4의 인산화 및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리소포스파티딘산은 G 단백질 결합 수용체 신호를 촉발하여 액틴 재구성을 촉진하고 잠재적으로 ZNRF4를 활성화할 수 있는 RhoA/Rac1 활성화로 이어집니다. 또한, PYR-41로 예시되는 유비퀴틴 활성화 효소 E1 활성화제는 유리 유비퀴틴의 가용성을 증가시켜 ZNRF4의 유비퀴틴 리가제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MLN4924에 의한 NEDD8 활성화 효소의 억제는 네딜화 단백질의 축적을 초래하여 간접적으로 ZNRF4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나트륨 니트로프루사이드와 같은 산화질소 공여체는 산화질소를 방출하여 S-니트로실화와 같은 번역 후 변형을 일으켜 ZNRF4의 활성화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제품명 | CAS # | 카탈로그 번호 | 수량 | 가격 | 引用 | RATING |
---|---|---|---|---|---|---|
Zinc | 7440-66-6 | sc-213177 | 100 g | $47.00 | ||
아연은 단백질의 구조적 무결성과 기능적 활성에 필수적인 아연-핑거 도메인에 결합하여 ZNRF4를 직접 활성화합니다. | ||||||
(S)-(−)-Blebbistatin | 856925-71-8 | sc-204253 sc-204253A sc-204253B sc-204253C | 1 mg 5 mg 10 mg 25 mg | $71.00 $260.00 $485.00 $949.00 | ||
LPA는 G 단백질 결합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RhoA/Rac1 활성화를 유도하고, 이는 세포 골격 역학과 관련된 세포 신호의 일부로서 ZNRF4를 활성화할 수 있는 액틴 세포 골격 재조직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