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2D2 억제제는 후각 수용체 GPCR 계열의 일부인 OR2D2 단백질의 기능적 활성을 간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합물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억제제는 OR2D2를 직접 표적으로 삼지는 않지만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작용하여 OR2D2가 관여하는 신호 전달 경로와 세포 과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퀴니딘과 리도카인은 나트륨 채널을 억제하여 신경세포 흥분성을 감소시키는데, 이는 OR2D2 매개 신호의 시작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케토코나졸은 세포막의 지질 구성을 변화시켜 적절한 OR2D2 기능에 필요한 미세 환경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황산구리 및 염화구리를 포함한 아연 이온과 구리 화합물은 GPCR의 알로스테릭 조절제로 작용하며, 이들이 OR2D2에 결합하면 수용체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형태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클로자핀의 GPCR에 대한 광범위한 길항 작용과 클로르프로마진의 도파민 및 세로토닌 수용체 차단은 OR2D2 신호 전달에 중요한 cAMP 수준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베라파밀과 딜티아젬은 칼슘 채널을 억제하여 칼슘 유입을 감소시켜 잠재적으로 OR2D2의 인산화 및 활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아밀로라이드는 후각 상피의 이온 균형에 영향을 미쳐 후각 감각 신경세포의 흥분성 변화로 인해 간접적으로 OR2D2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프로판올올은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에 대한 길항 작용을 통해 cAMP 수준을 감소시켜 OR2D2의 신호 전달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더보기
Items 1 to 10 of 12 total
디스플레이 라벨:
제품명 | CAS # | 카탈로그 번호 | 수량 | 가격 | 引用 | RATING |
---|---|---|---|---|---|---|
Quinidine | 56-54-2 | sc-212614 | 10 g | $102.00 | 3 | |
퀴니딘은 뉴런의 흥분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압-게이티드 나트륨 채널 차단제입니다. OR2D2는 후각 감각 뉴런에서 발현되기 때문에 퀴니딘은 OR2D2 매개 신호 전달에 필요한 뉴런 활동을 감소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OR2D2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 ||||||
Ketoconazole | 65277-42-1 | sc-200496 sc-200496A | 50 mg 500 mg | $62.00 $260.00 | 21 | |
케토코나졸은 다양한 세포 과정에 중요한 시토크롬 P450 효소를 방해합니다. 이로 인해 OR2D2가 국한된 세포막 구성이 변경되어 수용체의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기능을 간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습니다. | ||||||
Zinc | 7440-66-6 | sc-213177 | 100 g | $47.00 | ||
아연 이온은 G 단백질 결합 수용체(GPCR)의 알로스테릭 모듈레이터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Zn2+는 조절 부위에 결합하여 OR2D2의 형태를 변화시켜 수용체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
Copper(II) sulfate | 7758-98-7 | sc-211133 sc-211133A sc-211133B | 100 g 500 g 1 kg | $45.00 $120.00 $185.00 | 3 | |
구리 이온은 또한 GPCR의 알로스테릭 억제제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황산구리는 OR2D2와 상호 작용하여 수용체의 구조를 변형하고 하류 신호 경로를 활성화하는 능력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 ||||||
Lidocaine | 137-58-6 | sc-204056 sc-204056A | 50 mg 1 g | $50.00 $128.00 | ||
나트륨 채널 차단제인 리도카인은 뉴런의 활동 전위 발화 속도를 낮춥니다. 이는 OR2D2 신호를 유발할 수 있는 신경전달물질의 시냅스 방출을 감소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OR2D2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 ||||||
Clozapine | 5786-21-0 | sc-200402 sc-200402A | 50 mg 500 mg | $68.00 $357.00 | 11 | |
클로자핀은 여러 GPCR의 길항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OR2D2의 직접적인 억제제는 아니지만, 클로자핀의 광범위한 GPCR 길항 작용은 간접적으로 OR2D2 활성을 하향 조절하는 GPCR 신호 네트워크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
Chlorpromazine | 50-53-3 | sc-357313 sc-357313A | 5 g 25 g | $60.00 $108.00 | 21 | |
클로르프로마진은 도파민과 세로토닌 수용체를 차단하여 세포의 cAMP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cAMP는 GPCR 신호 전달에 관여하므로 신호 전달 효능을 감소시켜 간접적으로 OR2D2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 ||||||
Verapamil | 52-53-9 | sc-507373 | 1 g | $367.00 | ||
베라파밀은 전압 의존성 L형 칼슘 채널을 차단하여 칼슘 유입을 감소시킵니다. 세포 내 칼슘 수치는 GPCR 기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베라파밀은 칼슘 의존적 신호를 감소시켜 OR2D2를 간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습니다. | ||||||
Amiloride | 2609-46-3 | sc-337527 | 1 g | $290.00 | 7 | |
아밀로라이드는 상피 나트륨 채널(ENaC)을 억제하여 후각 상피의 이온 균형을 변화시키고 신경세포 흥분성의 변화로 인해 OR2D2 신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
Diltiazem | 42399-41-7 | sc-204726 sc-204726A | 1 g 5 g | $209.00 $464.00 | 4 | |
딜티아젬은 칼슘 채널을 억제하고 세포 내 칼슘을 감소시킴으로써 GPCR의 인산화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수용체 활성화 감소를 통해 OR2D2 신호의 간접적인 억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