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10H3 억제제는 다양한 화합물을 포함하며, 각 화합물은 고유한 메커니즘을 통해 OR10H3 단백질의 기능적 활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케토코나졸은 사이토크롬 P450 효소를 억제하여 후각 상피의 스테로이드 수치를 국소적으로 감소시켜 잠재적으로 OR10H3의 활동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브레펠딘 A는 소포체에서 골지체로의 단백질 수송을 방해하는데, 이는 세포 표면에서 OR10H3와 같은 G 단백질 결합 수용체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백일해 독소의 Gi/o 유형 G 단백질의 ADP-리보실화는 OR10H3가 GPCR로서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데 필수적인 억제 신호를 매개하지 못하게 합니다.
포볼 12-미리스테이트 13-아세테이트(PMA)는 PKC 활성화를 통해 GPCR을 인산화 및 탈감작시킬 수 있으며, 이는 OR10H3의 하향 조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포스콜린은 cAMP 수준을 높이고 PKA를 활성화하여 OR10H3를 인산화 및 탈감작시켜 기능을 억제할 수 있으며, 세포막에서 인지질 대사를 방해하는 클로르프로마진은 OR10H3를 포함한 GPCR의 형태나 환경을 변경하여 기능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레티노산은 후각 감각 뉴런의 분화에 영향을 미치고 표현형을 변화시켜 간접적으로 OR10H3의 발현 또는 활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Items 1 to 10 of 11 total
디스플레이 라벨:
| 제품명 | CAS # | 카탈로그 번호 | 수량 | 가격 | 引用 | RATING |
|---|---|---|---|---|---|---|
Amiloride • HCl | 2016-88-8 | sc-3578 sc-3578A | 25 mg 100 mg | $22.00 $56.00 | 6 | |
상피 나트륨 채널(ENaC)을 통한 나트륨 유입을 감소시키는 나트륨 채널 억제제. 아밀로라이드는 ENaC를 억제함으로써 세포 내 나트륨 수치를 감소시켜 OR10H3을 발현하는 후각 감각 뉴런의 나트륨 의존성 탈분극을 감소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OR10H3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 ||||||
Methimazole | 60-56-0 | sc-205747 sc-205747A | 10 g 25 g | $69.00 $110.00 | 4 | |
티오우레아 유도체는 갑상선 퍼옥시다아제 효소를 억제하여 갑상선 호르몬 생산을 감소시킵니다.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낮아지면 후각 시스템의 민감도를 변화시키고 OR10H3을 포함한 후각 수용체의 발현 또는 기능을 잠재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OR10H3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 ||||||
Chloroquine | 54-05-7 | sc-507304 | 250 mg | $68.00 | 2 | |
엔도솜 pH를 높이는 항말라리아제. G 단백질 결합 수용체(GPCR)의 이동 및 재활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GPCR 계열의 일원으로서 막 발현 감소로 이어져 OR10H3의 기능적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
Copper(II) sulfate | 7758-98-7 | sc-211133 sc-211133A sc-211133B | 100 g 500 g 1 kg | $45.00 $120.00 $185.00 | 3 | |
이온 채널에 결합하여 차단할 수 있는 금속 이온. 구리와 이온 채널의 상호작용은 막 전위에 영향을 미치고 후각 감각 뉴런의 흥분성을 조절하여 OR10H3을 간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습니다. | ||||||
Cimetidine | 51481-61-9 | sc-202996 sc-202996A | 5 g 10 g | $62.00 $86.00 | 1 | |
위산 분비를 감소시키는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 시메티딘은 또한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여 중추 히스타민 경로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OR10H3가 발현되는 신경 회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그 기능적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
Verapamil | 52-53-9 | sc-507373 | 1 g | $367.00 | ||
L형 칼슘 채널을 억제하는 칼슘 채널 차단제. 베라파밀은 칼슘 유입을 줄임으로써 뉴런의 활동을 감소시키고 이 후각 수용체를 발현하는 뉴런의 흥분성 및 신호에 영향을 미쳐 간접적으로 OR10H3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 ||||||
Reserpine | 50-55-5 | sc-203370 sc-203370A | 1 g 5 g | $134.00 $406.00 | 1 | |
신경세포에서 카테콜아민과 세로토닌을 고갈시키는 알칼로이드. 이러한 고갈은 시냅스 전달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OR10H3 발현 후각 감각 뉴런과 상호 작용하는 후각 전구 뉴런에 영향을 주어 간접적으로 OR10H3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 ||||||
Diltiazem | 42399-41-7 | sc-204726 sc-204726A | 1 g 5 g | $209.00 $464.00 | 4 | |
L형 칼슘 채널을 억제하는 벤조티아제핀 칼슘 채널 차단제. 베라파밀과 마찬가지로 딜티아젬은 신경세포 흥분성을 감소시켜 후각 감각 신경세포의 신호를 감소시킴으로써 OR10H3의 간접적인 억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
Omeprazole | 73590-58-6 | sc-202265 | 50 mg | $66.00 | 4 | |
위 정수리 세포에서 H+/K+-ATPase를 차단하여 위산 생성을 감소시키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입니다. 오메프라졸은 주로 위장에 영향을 미치지만, 전신 pH 균형을 변화시켜 후각계에서 OR10H3와 같은 GPCR의 활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
Zinc | 7440-66-6 | sc-213177 | 100 g | $47.00 | ||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의 알로스테릭 조절자 역할을 하며 이온 채널을 차단할 수도 있는 금속 이온. 아연의 작용은 뉴런의 활성과 후각 신호 전달 경로를 변경하여 OR10H3를 간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