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published: 2025-9-9

001 800-1338-3838

SCBT Portrait Logo
Seach Input

MCM7 항체 (47DC141): sc-56324

5.0(4)
리뷰 쓰기질문하기

데이터 시트
  • MCM7 항체(47DC141) 는 마우스 monoclonal IgG1κ, 21간행물에 인용, 이며 200 µg/ml으로 제공합니다.
  • human의 전체 길이 재조합 MCM7에 대해 제기됨
  • WB, IP, IF, IHC(P)와 ELISA으로 mouse, rat, human, Xenopus와 canine origin의 MCM7을 검출할것을 권장합니다.
  • See MCM7 (141.2): sc-9966 for additional antibody conjugates, including AC, HRP, FITC, PE, Alexa Fluor® 488, 594, 647, 680 and 790.
  • 1 BP-HRP">m-IgG1 BP-HRPm-IgGκ BP-HRP는 MCM7 항체 (47DC141) WB 및 IHC(P) 애플리케이션용입니다. 이 시약은 이제 MCM7 항체 (47DC141)와 함께 번들로 제공됩니다(아래 주문 정보 참조).

빠른 링크

더보기

MCM2, MCM3, MCM4 (Cdc21), MCM5 (Cdc46), MCM6 (Mis5) 및 MCM7 (Cdc47)을 포함한 단백질의 미니 염색체 유지 (MCM) 계열은 세포 주기에서 단 한 번만 복제가 발생하도록 작용하는 DNA 복제의 조절자이다. MCM 단백질의 발현은 세포 성장 동안 증가하며, G1에서 S 단계에서 정점을 찍는다. MCM 단백질은 각각 ATP 결합 모티프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이중 가닥 DNA의 ATP 의존적 개방을 매개할 것으로 예측된다. MCM 단백질은 MCM 발현을 유도하는 E2F 전사 인자와 MCM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여 세포의 복제 후 상태를 유지하는 단백질 키나제에 의해 조절된다. MCM2/MCM4 복합체는 시험관 내에서 Cdc2/사이클린 B의 기질로 기능한다. 카스파제 억제제에 의해 방지될 수 있는 MCM3의 절단은 적어도 MCM2-6으로 구성된 MCM 복합체의 세포자멸사 동안 비활성화를 초래한다. MCM4, MCM6 및 MCM7로 구성된 복합체는 DNA 헬리카제 활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CM5는 IFN γ 유도 Stat1α 전사 활성화에 관여한다.

연구용으로만 사용가능합니다. 진단이나 치료용으로 사용불가합니다.

Alexa Fluor®는 미국 오리건주 Molecular Probes Inc.의 상표입니다.

LI-COR®와 Odyssey®는 LI-COR Biosciences의 등록 상표입니다.

MCM7 항체 (47DC141) 참고문헌:

  1. MCM7 발현은 간세포암의 수술 후 예후를 예측합니다.  |  Zhou, YM., et al. 2012. Liver Int. 32: 1505-9. PMID: 22784096
  2. MCM7과 RACK1의 상호작용을 통한 MCM7의 활성화 및 세포 성장.  |  Zhang, XY., et al. 2013. Am J Pathol. 182: 796-805. PMID: 23313748
  3. 척수 손상 후 쥐에서 MCM7 발현이 변화합니다.  |  Chen, J., et al. 2013. J Mol Neurosci. 51: 82-91. PMID: 23526403
  4. 식도 편평상피세포암에서 G9a 및 MCM7의 과발현은 예후 불량과 관련이 있습니다.  |  Zhong, X., et al. 2015. Histopathology. 66: 192-200. PMID: 24805087
  5. MCM7 발현은 뇌수막종으로 수술한 환자에서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유망한 예측 인자입니다.  |  Winther, TL. and Torp, SH. 2017. J Neurooncol. 131: 575-583. PMID: 27868157
  6. RACK1은 MCM7/RACK1/Akt 신호 복합체를 통해 폐암 세포의 성장을 촉진합니다.  |  Fei, L., et al. 2017. Oncotarget. 8: 40501-40513. PMID: 28465488
  7. MCM7 발현은 폐 선암의 조직학적 하위 유형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예후가 좋지 않음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  Wang, H., et al. 2017. Int J Clin Exp Pathol. 10: 11747-11753. PMID: 31966536
  8. CDC45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PI3K/AKT 경로를 억제하여 MCM7 발현을 조절하고 세포 증식을 억제합니다.  |  Zhang, R., et al. 2021. Am J Transl Res. 13: 10218-10232. PMID: 34650692
  9. MCM7 종양 단백질 억제를 통한 암 치료에서 비타민의 역할에 대한 인실리코 조사.  |  Mukherjee, S., et al. 2022. RSC Adv. 12: 31004-31015. PMID: 36349041
  10. 유방암에서 증식 마커 MCM7의 예후 및 임상적 중요성.  |  Lashen, AG., et al. 2024. Pathobiology. 1-10. PMID: 39191229

주문정보

제품명카탈로그 번호 단위가격수량관심품목

MCM7 항체 (47DC141)

sc-56324
200 µg/ml
$316.00

MCM7 (47DC141): m-IgGκ BP-HRP 번들

sc-534289
200 µg Ab; 40 µg BP
$354.00

MCM7 (47DC141): m-IgG1 BP-HRP 번들

sc-538865
200 µg Ab; 20 µg BP
$354.00

I am using MCM7 (47DC141): sc-56324 monoclonal antibody to stain paraffin embedded tissue. Do you recommend antigen retrieval when using this antibody?

Asked by: jenniferc
We recommend performing antigen retrieval with sodium citrate buffer (pH 6) and heat. The full protocol can be found here: https://www.scbt.com/scbt/resources/protocols/immunoperoxidase-staining
Answered by: Technical Support
Date published: 2017-02-24
  • y_2025, m_9, d_9, h_6CST
  • bvseo_bulk, prod_bvqa,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questionsanswers, tq_1
  • loc_ko_KR, sid_56324, prod, sort_[SortEntry(order=LAST_APPROVED_ANSWER_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Content, 120ms
  • QUESTIONS, PRODUCT
Rated 5 out of 5 by from Great immunoperoxidase nuclear staining inGreat immunoperoxidase nuclear staining in formalin fixed, paraffin-embedded human duodenum tissue. -SCBT QC
Date published: 2015-04-30
Rated 5 out of 5 by from Positive results in WB using APositive results in WB using A-431 whole cell lysate. -SCBT Publication Review
Date published: 2015-03-09
Rated 5 out of 5 by from StrongStrong, clean bands via western blot in COLO 320DM, H4 and HeLa whole cell lysates. -SCBT QC
Date published: 2015-02-22
Rated 5 out of 5 by from Published WB data using murine cerebellarPublished WB data using murine cerebellar granule cells. -SCBT Publication Review
Date published: 2015-01-31
  • y_2025, m_9, d_9, h_6
  • bvseo_bulk, prod_bvrr,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reviews, tv_0, tr_4
  • loc_ko_KR, sid_56324, prod, sort_[SortEntry(order=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Reviews, 16ms
  • REVIEWS, PRODUCT
MCM7 항체 (47DC141) is rated 5.0 out of 5 by 4.
  • y_2025, m_9, d_9, h_6
  • bvseo_bulk, prod_bvrr,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reviews, tv_0, tr_4
  • loc_ko_KR, sid_56324, prod, sort_[SortEntry(order=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AggregateRating, 117ms
  • REVIEWS,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