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 손상에 따른 지혈은 불용성 피브린 혈전의 형성과 혈소판 응집 촉진으로 이어지는 혈액 응고 캐스케이드에 관여하는 필수 혈장 프로응고제 (프로트롬빈 및 인자 X, IX, V 및 VIII)의 배치를 포함한다. 인자 VII (혈청 프로트롬빈 전환 촉진제, 프로컨버틴, F7, 응고 인자 7)는 간에서 합성되고 비활성 전구체로 순환하는 406 아미노산, 비타민 K 의존성 단일 사슬 세린 단백질분해효소이다. Arg 152-Ile 153에서 인자 VII의 인자 IX A, 인자 XI, 인자 XII A 또는 트롬빈 매개 단백질 분해 절단은 두 개의 EGF 유사 도메인을 포함하는 경쇄에 연결된 촉매 중쇄 이황화로 구성된 활성 세린 단백질분해효소인 인자 VII A를 생성한다. 인자 VII 결핍을 초래하는 F7 유전자좌의 돌연변이는 일반적으로 무증상 또는 표현형이 특성화되지 않으며 출혈성 투석은 극도로 저수준에서 발생한다.
연구용으로만 사용가능합니다. 진단이나 치료용으로 사용불가합니다.
Alexa Fluor®는 미국 오리건주 Molecular Probes Inc.의 상표입니다.
LI-COR®와 Odyssey®는 LI-COR Biosciences의 등록 상표입니다.
Factor VII 항체 (RFF-VII/1) 참고문헌:
- 간 질환에서 간세포 합성 기능의 마커로서의 인자 VII. | Green, G., et al. 1976. J Clin Pathol. 29: 971-5. PMID: 1002840
- 억제제 특이성이 변경된 엔지니어링된 재조합 인자 VII Q217 변이체. | Chang, YJ., et al. 1999. Biochemistry. 38: 10940-8. PMID: 10460149
- 만성 투석 환자의 7인자 과활성. | Kario, K., et al. 1992. Thromb Res. 67: 105-13. PMID: 1332212
- 비혈우병성 외상 환자의 불응성 출혈에 대한 재조합 인자 VII에 대한 검토. | Barletta, JF., et al. 2005. J Trauma. 58: 646-51. PMID: 15761369
- 7인자 응고 활성, 7인자 -670A/C 및 -402G/A 다형성, 정맥 혈전색전증 위험. | Folsom, AR., et al. 2007. J Thromb Haemost. 5: 1674-8. PMID: 17663738
- 재조합 활성화된 응고인자 VII의 작용 방식에 대한 추가 이해. | Monroe, DM. 2008. Semin Hematol. 45: S7-S11. PMID: 18544430
- 7인자에서 TFPI 결합 엑소사이트의 돌연변이는 7인자 결핍에서 출혈 표현형을 유발합니다. | Seanoon, K., et al. 2022. Blood Adv. 6: 5887-5897. PMID: 35973191
- 폴리도파민 이식을 통한 폴리카프로락톤 막에 혈액 응고 인자 VII의 고정화. | Gopal, R., et al. 2023. Colloids Surf B Biointerfaces. 228: 113390. PMID: 37315506
- 인자 VII 활성화와 경구 피임약. | Plu-Bureau, G., et al. 1993. Thromb Res. 70: 275-80. PMID: 8327993
- 가족성 복부지방단백혈증에서 매우 낮은 활성화된 7인자 및 감소된 7인자 항원. | Miller, GJ., et al. 1998. Thromb Haemost. 80: 233-8. PMID: 9716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