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published: 2025-9-10

001 800-1338-3838

SCBT Portrait Logo
Seach Input

creatine kinase-M 항체 (MM-64): sc-69878

4.3(3)
리뷰 쓰기질문하기

데이터 시트
  • creatine kinase-M 항체(MM-64) 는 마우스 monoclonal IgG1κ, 2간행물에 인용, 이며 200 µg/ml으로 제공합니다.
  • 유전자침묵제품은 비영리적인용도나 연구에만 사용가능합니다 자세한 정보보기.
  • WB와 IP으로 mouse, rat와 human origin의 creatine kinase-M을 검출할것을 권장합니다.
  • creatine kinase-M 항체 (MM-64) WB 애플리케이션용입니다. 이 시약은 현재 creatine kinase-M 항체 (MM-64)(아래 주문 정보 참조)와 함께 번들로 제공됩니다.

빠른 링크

더보기

크레아틴 키나아제(CK)는 크레아틴과 아데닌 뉴클레오티드 사이의 인산염 이동을 통해 에너지 수요가 변동하는 부위에 ATP를 공급하는 세포 내 구획에서 ATP 수준을 조절하는 대규모의 이소효소 제품군입니다. 크레아틴 키나아제는 근육, 전구세포, 망막 광수용체 세포, 뇌세포, 신장, 소금샘, 자궁근층, 태반, 췌장, 흉선, 갑상선, 장 상피 세포, 내피 세포, 연골 및 뼈 세포, 대식세포, 혈소판, 종양 및 암세포를 포함한 많은 세포 시스템의 정상적인 기능을 촉진하는 데 필요한 인산염 가수분해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인간 세포질 크레아틴 키나아제-B(CK-B 및 BCK라고도 함)는 381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뇌 조직 특이적 크레아틴 키나아제 동형체입니다. 인간 세포질 크레아틴 키나아제-M(CK-M, MCK)은 크레아틴 키나아제의 근육 조직 특이적 이소형입니다. 인간 세포질 크레아틴 키나아제-Mi(Mi-CK, MtCK)는 크레아틴 키나아제의 416아미노산 미토콘드리아 특이적 이소형입니다. 세포질 크레아틴 키나아제는 Ca2+ 펌프의 에너지 조절과 Ca2+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용으로만 사용가능합니다. 진단이나 치료용으로 사용불가합니다.

Alexa Fluor®는 미국 오리건주 Molecular Probes Inc.의 상표입니다.

LI-COR®와 Odyssey®는 LI-COR Biosciences의 등록 상표입니다.

creatine kinase-M 항체 (MM-64) 참고문헌:

  1. 확장성 심근병증을 보이는 Rac1 유전자 변형 생쥐의 단백질체 분석 결과, 크레아틴 키나제 M-사슬 단백질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Buscemi, N., et al. 2003. Mol Cell Biochem. 251: 145-51. PMID: 14575316
  2. 동종 및 비동종 벡터를 이용한 배아 줄기세포의 크레아틴 키나아제 M 유전자 표적화.  |  van Deursen, J. and Wieringa, B. 1992. Nucleic Acids Res. 20: 3815-20. PMID: 1508665
  3. CK-MM 자가항체: 유병률, 면역 복합체, CK 제거에 미치는 영향.  |  Warren, GL., et al. 2006. Muscle Nerve. 34: 335-46. PMID: 16810680
  4. CK-MM 및 ACE 유전자형과 운동에 대한 크레아틴 키나제 반응의 생리적 예측.  |  Heled, Y., et al. 2007. J Appl Physiol (1985). 103: 504-10. PMID: 17478608
  5. CK-MM 유전자 다형성은 고강도 편심 운동 후 혈액 내 CK 활성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Yamin, C., et al. 2010. Int J Sports Med. 31: 213-7. PMID: 20157874
  6. 쥐 배아 줄기세포에서 하나의 크레아틴 키나아제 M 대립유전자의 연속적인 유전자 타겟팅에 의한 유전자 활동의 조절.  |  van Deursen, J., et al. 1991. Nucleic Acids Res. 19: 2637-43. PMID: 2041741
  7. CK-MM의 축적은 뒤쉔 근이영양증 환자의 신경 분포 및 수축된 배양된 근육 섬유에서 손상됩니다.  |  Askanas, V., et al. 1987. Life Sci. 41: 927-33. PMID: 3613854
  8. 심장 조직 내 크레아틴 키나아제 M 및 B 이소효소 조성의 정량화를 위한 효소법: 발달기 및 성체 쥐 심장에 대한 연구에서의 활용을 위한 고려 사항.  |  Dowell, RT. and Fu, MC. 1995. Methods Find Exp Clin Pharmacol. 17: 29-37. PMID: 7623518
  9. 혈청 내 총 CK 및 CK-MM 이소폼 비율의 동시 자동 측정.  |  Uji, Y., et al. 1994. J Clin Lab Anal. 8: 273-6. PMID: 7807281
  10. 크레아틴 키나아제 M-라인 단백질과 미오신 및 미오신 단편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물리화학적 연구.  |  Mani, RS. and Kay, CM. 1976. Biochim Biophys Acta. 453: 391-9. PMID: 793621

주문정보

제품명카탈로그 번호 단위가격수량관심품목

creatine kinase-M 항체 (MM-64)

sc-69878
200 µg/ml
$316.00

creatine kinase-M (MM-64): m-IgG Fc BP-HRP 번들

sc-539254
200 µg Ab; 10 µg BP
$354.00

I am using the LiCor/Odyssey system. Which secondary antibody do you recommend using with creatine kinase-M (MM-64): sc-69878?

Asked by: Cweed
We recommend using one of our our exclusive Mouse IgG Binding Proteins conjugated to CFL 680 or CFL 790. They are suitable for use with Near-Infrared (NIR) detection systems, such as LI-COR/Odyssey and other comparable systems. A complete list of available binding proteins is available on our website here: https://www.scbt.com/scbt/browse/support-products-mouse-igg-binding-proteins/_/N-ecrety
Answered by: Technical Support
Date published: 2017-02-27
  • y_2025, m_9, d_8, h_8CST
  • bvseo_bulk, prod_bvqa,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questionsanswers, tq_1
  • loc_ko_KR, sid_69878, prod, sort_[SortEntry(order=LAST_APPROVED_ANSWER_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Content, 101ms
  • QUESTIONS, PRODUCT
Rated 4 out of 5 by from Worked well with transfected lysate by WBWorked well with transfected lysate by WB. -SCBT QC
Date published: 2015-06-06
Rated 4 out of 5 by from Strong bands seen in WB using human skeletalStrong bands seen in WB using human skeletal muscle and human heart tissue extracts. -SCBT QC
Date published: 2015-04-05
Rated 5 out of 5 by from WB publishable data with helaWB publishable data with hela - SCBT Publication Review
Date published: 2013-11-07
  • y_2025, m_9, d_8, h_8
  • bvseo_bulk, prod_bvrr,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reviews, tv_0, tr_3
  • loc_ko_KR, sid_69878, prod, sort_[SortEntry(order=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Reviews, 16ms
  • REVIEWS, PRODUCT
creatine kinase-M 항체 (MM-64) is rated 4.3 out of 5 by 3.
  • y_2025, m_9, d_8, h_8
  • bvseo_bulk, prod_bvrr,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reviews, tv_0, tr_3
  • loc_ko_KR, sid_69878, prod, sort_[SortEntry(order=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AggregateRating, 111ms
  • REVIEWS,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