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published: 2025-9-9

001 800-1338-3838

SCBT Portrait Logo
Seach Input

α-dystroglycan 항체 (2237E2D1): sc-65628

4.0(1)
리뷰 쓰기질문하기

데이터 시트
  • α-dystroglycan 항체(2237E2D1) 는 마우스 monoclonal IgG2b(kappa light chain) 이며 200 µg/ml으로 제공합니다.
  • 뇌 조직 균질액에 대해 항체 반응이 일어나며, bovine 기원의 α-dystroglycan의 당화 부위에 대한 에피토프 매핑
  • WB 와IP으로 bovine origin의 brain α-dystroglycan을 검출할것을 권장합니다.; brain α-dystroglycan of mouse, rat and rabbit origin; non cross reactive with skeletal muscle α-dystroglycan와 교차반응이 없습니다.
  • See α-dystroglycan (IIH6): sc-53987 for additional antibody conjugates, including AC, HRP, FITC, PE, Alexa Fluor® 488, 594, 647, 680 and 790.
  • α-dystroglycan 항체 (2237E2D1) WB 애플리케이션용입니다. 이 시약은 현재 α-dystroglycan 항체 (2237E2D1)(아래 주문 정보 참조)와 함께 번들로 제공됩니다.

    빠른 링크

    더보기

    α-디스트로글리칸 항체(2237E2D1)는 소 샘플에서 웨스턴 블롯팅(WB) 및 면역 침전(IP) 적용을 통해 α-디스트로글리칸을 검출하는 마우스 단일 클론 IgG2b 항체입니다. α-디스트로글리칸(2237E2D1) 항체는 라미닌, 아그린, 펄레칸 등 다양한 세포 외 기질 분자와 상호작용하는 중요한 세포 표면 수용체를 인식하여 초기 발달 과정에서 기저막을 형성하고 세포 표면에서 라미닌을 조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α-디스트로글리칸 단일 클론 항체(2237E2D1)는 주로 세포막에 위치한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며, α-디스트로글리칸은 막 통과 당단백질인 β-디스트로글리칸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근육의 완전성과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α/β-디스트로글리칸 복합체를 생성합니다. 항α-디스트로글리칸 항체(2237E2D1)는 육종에서 디스트로핀 관련 단백질 복합체와 신경근 접합부에서 유트로핀 관련 단백질 복합체에 필수적인 단백질을 검출하여 효과적인 신경근 전달에 중요한 니코틴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군집을 촉진합니다. α-디스트로글리칸의 적절한 기능은 근육 세포의 안정성과 신호 전달에 필수적이므로 α-디스트로글리칸은 근육 관련 질환 및 발달 생물학 연구의 중요한 표적이 되고 있습니다.

    연구용으로만 사용가능합니다. 진단이나 치료용으로 사용불가합니다.

    Alexa Fluor®는 미국 오리건주 Molecular Probes Inc.의 상표입니다.

    LI-COR®와 Odyssey®는 LI-COR Biosciences의 등록 상표입니다.

    α-dystroglycan 항체 (2237E2D1) 참고문헌:

    1. 근육-눈-뇌 질환에서 알파-디스트로글리칸의 결핍.  |  Kano, H., et al. 2002. Biochem Biophys Res Commun. 291: 1283-6. PMID: 11883957
    2. 알파-디스트로글리칸의 비정상적인 당화 및 선천성 근이영양증.  |  Endo, T. 2005. Acta Myol. 24: 64-9. PMID: 16550917
    3. α-디스트로글리칸의 글리코실화 결함은 족세포 평탄화에 기여합니다.  |  Kojima, K., et al. 2011. Kidney Int. 79: 311-6. PMID: 20944549
    4. 아데노바이러스 발병 기전 해독: 알파-디스트로글리칸-바이러스 상호작용과 면역 반응의 필수 역할.  |  Oldstone, MB. and Campbell, KP. 2011. Virology. 411: 170-9. PMID: 21185048
    5. 질병에서 O-만노실화 경로의 역할에 대한 분자적 기초 해부: α-디스트로글리칸과 근이영양증의 형태.  |  Live, D., et al. 2013. Chembiochem. 14: 2392-402. PMID: 24318691
    6. α-디스트로글리칸 코어 M1 O-만노스 글리칸의 화학 효소 합성.  |  Zhang, Y., et al. 2015. Chem Commun (Camb). 51: 11654-7. PMID: 26100261
    7. 글리코실전달효소 LARGE1의 외인성 발현은 횡문근육종에서 α-디스트로글리칸 매트리글리칸과 라미닌 결합을 회복시킵니다.  |  Beltrán, D., et al. 2019. Skelet Muscle. 9: 11. PMID: 31054580
    8. HNK-1 설포트랜스퍼라제는 마트리글리칸에서 글루쿠론산의 3-O-황화에 의한 α-디스트로글리칸 당화를 조절합니다.  |  Sheikh, MO., et al. 2020. Glycobiology. 30: 817-829. PMID: 32149355
    9. 암 악성 종양은 α-디스트로글리칸의 PCYT2-매개 글리세롤 인산염 변형의 상향 조절과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  Umezawa, F., et al. 2022. Int J Mol Sci. 23: PMID: 35743105
    10. α-디스트로글리칸의 이중 엑소글리코시다제 분해에 의한 마트리글리칸의 확인.  |  Chandel, I. and Campbell, KP. 2023. Bio Protoc. 13: e4827. PMID: 37753476

    주문정보

    제품명카탈로그 번호 단위가격수량관심품목

    α-dystroglycan 항체 (2237E2D1)

    sc-65628
    200 µg/ml
    $316.00

    α-dystroglycan (2237E2D1): m-IgG Fc BP-HRP 번들

    sc-539186
    200 µg Ab; 10 µg BP
    $354.00

    How much sample do you recommend loading on the gel for Western blot detection using α-dystroglycan (2237E2D1): sc-65628?

    Asked by: TinTin
    We recommend loading 40–60 µg whole cell lysate, 10–20 µg nuclear extract, 5-10 µg transfected lysate, or 10–20 ng purified protein per lane. A link to our complete Western blotting protocol is provided here for your reference: https://www.scbt.com/scbt/resources/protocols/western-immuno-blotting
    Answered by: Technical Support
    Date published: 2017-03-01
    • y_2025, m_9, d_8, h_8CST
    • bvseo_bulk, prod_bvqa,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questionsanswers, tq_1
    • loc_ko_KR, sid_65628, prod, sort_[SortEntry(order=LAST_APPROVED_ANSWER_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Content, 114ms
    • QUESTIONS, PRODUCT
    Rated 4 out of 5 by from Strong positive signal observed in WB inStrong positive signal observed in WB in cow brain tissue extract. -SCBT QC
    Date published: 2014-05-27
    • y_2025, m_9, d_8, h_8
    • bvseo_bulk, prod_bvrr,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reviews, tv_0, tr_1
    • loc_ko_KR, sid_65628, prod, sort_[SortEntry(order=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Reviews, 19ms
    • REVIEWS, PRODUCT
    α-dystroglycan 항체 (2237E2D1) is rated 4.0 out of 5 by 1.
    • y_2025, m_9, d_8, h_8
    • bvseo_bulk, prod_bvrr,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reviews, tv_0, tr_1
    • loc_ko_KR, sid_65628, prod, sort_[SortEntry(order=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AggregateRating, 115ms
    • REVIEWS,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