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published: 2025-9-9

001 800-1338-3838

SCBT Portrait Logo
Seach Input

uMtCK 항체 (25-L): sc-130364

4.0(1)
리뷰 쓰기질문하기

데이터 시트
  • uMtCK 항체(25-L) 는 마우스 monoclonal IgG2a(kappa light chain) 이며 100 µg/ml으로 제공합니다.
  • human origin의 uMtCK의 전체인 327-418 아미노산을 항원으로 사용하였습니다.
  • WB 와IP으로 human origin의 uMtCK을 검출할것을 권장합니다.
  • 현재 uMtCK 항체(25-L)에 대해 선호하는 2차 검출 시약의 식별을 아직 완료하지 못했습니다. 이 작업은 진행 중입니다.

    빠른 링크

    더보기

    크레아틴 키나아제(CK)는 크레아틴과 아데닌 뉴클레오티드 사이의 인산염 이동을 통해 에너지 수요가 변동하는 부위에 ATP를 공급하는 세포 내 구획에서 ATP 수준을 조절하는 큰 계열의 이소효소입니다. CK는 근육, 전구세포, 망막 광수용체 세포, 뇌세포, 신장, 소금샘, 자궁근층, 태반, 췌장, 흉선, 갑상선, 장 상피 세포, 내피 세포, 연골 및 뼈 세포, 대식세포, 혈소판, 종양 및 암세포 등 많은 세포 시스템의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인산염 가수분해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인간 세포질 CK-Brain(CK-B, BCK)은 381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CK의 뇌 조직 특이적 동형 단백질입니다. 인간 세포질 CK-Muscle(CK-M, MCK)은 CK의 근육 조직 특이적 이소포름입니다. 인간 세포질 CK-미토콘드리아(MtCK, Mi-CK)는 416아미노산 미토콘드리아 특이적 CK의 이소포름입니다. 세포질 CK는 Ca2+ 펌프의 에너지 조절과 Ca2+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용으로만 사용가능합니다. 진단이나 치료용으로 사용불가합니다.

    Alexa Fluor®는 미국 오리건주 Molecular Probes Inc.의 상표입니다.

    LI-COR®와 Odyssey®는 LI-COR Biosciences의 등록 상표입니다.

    uMtCK 항체 (25-L) 참고문헌:

    1. ASB9는 유비쿼터스 미토콘드리아 크레아틴 키나아제와 상호 작용하여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억제합니다.  |  Kwon, S., et al. 2010. BMC Biol. 8: 23. PMID: 20302626
    2. 세포 배양 모델 시스템에서 류신 풍부 반복 키나아제 2(LRRK2)의 발현은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uMtCK의 처리를 억제합니다.  |  Cui, J., et al. 2011. Biosci Rep. 31: 429-37. PMID: 21370995
    3. 유비쿼터스 미토콘드리아 크레아틴 키나아제(uMtCK)의 과발현은 유방암 세포의 세포 사멸을 억제하여 종양 성장을 가속화하며 유방암 환자의 예후 불량과 관련이 있습니다.  |  Qian, XL., et al. 2012. Biochem Biophys Res Commun. 427: 60-6. PMID: 22982673
    4. 간세포암종에서 유비쿼터스 미토콘드리아 크레아틴 키나아제 발현이 높으면 악성 가능성이 높고 예후가 좋지 않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Uranbileg, B., et al. 2014. Int J Cancer. 134: 2189-98. PMID: 24174293
    5. 유비쿼터스 미토콘드리아 크레아틴 키나아제의 발현은 전립선암 진행에 따라 하향 조절됩니다.  |  Amamoto, R., et al. 2016. J Cancer. 7: 50-9. PMID: 26722360
    6. 인간 유비쿼터스 미토콘드리아 크레아틴 키나아제의 인산화 전달 메커니즘에 대한 통찰력.  |  Li, Q., et al. 2016. Sci Rep. 6: 38088. PMID: 27909311
    7. 특발성 파킨슨병 환자의 혈청에서 미토콘드리아 크레아틴 키나아제가 감소합니다.  |  Xu, J., et al. 2019. Aging Dis. 10: 601-610. PMID: 31165004
    8. 유비쿼터스 미토콘드리아 크레아틴 키나아제는 JNK-MAPK/JUN/HK2 축 조절 해당 작용을 통해 위암의 진행을 촉진합니다.  |  Mi, Y., et al. 2023. Gastric Cancer. 26: 69-81. PMID: 36114400
    9. 하향 조절된 miRNA-491-3p는 uMtCK 발현을 증가시켜 대장암 성장을 촉진합니다.  |  Tang, X., et al. 2022. PeerJ. 10: e14285. PMID: 36518289
    10. 유방암 진행에서 유비쿼터스 미토콘드리아 크레아틴 키나아제 CKMT1의 상황 의존적 역할.  |  Ayyappan, V., et al. 2024. Cell Rep. 43: 114121. PMID: 38615320

    주문정보

    제품명카탈로그 번호 단위가격수량관심품목

    uMtCK 항체 (25-L)

    sc-130364
    100 µg/ml
    $33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