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published: 2025-9-10

001 800-1338-3838

SCBT Portrait Logo
Seach Input

TBL1XR1 항체 (L-08): sc-100908

4.5(4)
리뷰 쓰기질문하기

데이터 시트
  • TBL1XR1 항체 L-08 는 마우스 monoclonal IgG1 κ TBL1XR1 항체, 13간행물에 인용, 이며 50 µg/0.5 ml으로 제공합니다.
  • 부분 재조합 단백질 매핑에 대해 제기됨 TBL1XR1의 내부 영역에 대한 부분 재조합 단백질 매핑에 대해 제기됨 human의 기원
  • WB, IP, IF, IHC(P) 와ELISA으로 human origin의 TBL1XR1을 검출할것을 권장합니다.
  • TBL1XR1 (L-08): sc-100908무료10 µg 샘플을 신청하려면 기술지원팀 (또는 로컬 디스트리뷰터)에 연락주세요.
  • m-IgG Fc BP-HRPm-IgG1 BP-HRP 는 TBL1XR1 항체 (L-08) 가 WB and IHC(P) 에 응용될 때 우선으로 사용하는 이차 항체 검사 시약입니다.이 시약은TBL1XR1 항체(L-08) 와 세트로 제공드립니다. (아래의 주문 정보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빠른 링크

더보기

TBL1XR1 항체(L-08)는 마우스 단일 클론 IgG1 카파 경쇄 항체로, 웨스턴 블롯팅(WB), 면역 침전(IP), 면역 형광(IF), 파라핀 내장 절편을 이용한 면역 조직 화학(IHCP),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ELISA)으로 인간 유래의 TBL1XR1 단백질을 검출합니다. 항-TBL1XR1 항체(L-08)는 비컨쥬게이션 형식으로 제공됩니다. 트랜스듀신(베타)-유사 1 X-연결 수용체 1, C21, DC42, IRA1 또는 TBLR1(TBL1 관련 단백질 1)로도 알려진 TBL1XR1은 전사 조절자로서 세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TBL1XR1은 WD 반복 EBI 계열에 속하며 8개의 WD 반복, 1개의 LisH 도메인, 1개의 F-박스 유사 도메인을 포함하고 있어 다양한 단백질과 상호 작용할 수 있습니다. TBL1XR1은 주로 세포질과 핵에서 기능하며 핵 수용체 코어프레서(NCoR)의 공동 억제 메커니즘에 참여하고 레티노이드 및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SMRT) 복합체에 대한 침묵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국소화는 리간드 결합 시 공동 억제제 분해를 위한 프로테아좀 기계 모집을 촉진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게 합니다. TBL1XR1의 중요성은 β-카테닌 매개 전사까지 확장되는데, 녹다운 연구에서 두경부 편평세포암 세포의 전사 활성 억제 및 성장 억제가 입증되어 암 치료의 치료 표적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용으로만 사용가능합니다. 진단이나 치료용으로 사용불가합니다.

Alexa Fluor®는 미국 오리건주 Molecular Probes Inc.의 상표입니다.

LI-COR®와 Odyssey®는 LI-COR Biosciences의 등록 상표입니다.

TBL1XR1 항체 (L-08) 참고문헌:

  1. 인간 N-CoR 복합체의 정제 및 기능적 특성화: HDAC3, TBL1 및 TBLR1의 역할.  |  Yoon, HG., et al. 2003. EMBO J. 22: 1336-46. PMID: 12628926
  2. 개구리 발달 중 유전자 억제를 위한 비리간드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에 의한 N-CoR/SMRT-TBLR1 코어프레서 복합체의 모집.  |  Tomita, A., et al. 2004. Mol Cell Biol. 24: 3337-46. PMID: 15060155
  3. 억제를 위해 코어프레서 복합체를 표적으로 삼는 데 관여하는 히스톤 코드의 판독 및 기능.  |  Yoon, HG., et al. 2005. Mol Cell Biol. 25: 324-35. PMID: 15601853
  4. TBLR1은 핵호르몬 수용체 공동억제인자의 발현을 조절합니다.  |  Zhang, XM., et al. 2006. BMC Cell Biol. 7: 31. PMID: 16893456
  5. 인간 원발성 폐 편평세포암종에서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 규명.  |  Liu, Y., et al. 2007. Lung Cancer. 56: 307-17. PMID: 17316888
  6. TBL1-TBLR1과 베타 카테닌은 전사 활성화 및 종양 발생을 위해 Wnt 표적 유전자 프로모터에 서로를 모집합니다.  |  Li, J. and Wang, CY. 2008. Nat Cell Biol. 10: 160-9. PMID: 18193033
  7. Wnt/베타카테닌 신호: 스위치 켜기.  |  Cadigan, KM. 2008. Dev Cell. 14: 322-3. PMID: 18331712
  8. 조절된 유전자 프로모터에 대한 TBL1 및 TBLR1 인산화는 이중 CtBP 및 NCoR/SMRT 전사 억제 체크포인트를 극복합니다.  |  Perissi, V., et al. 2008. Mol Cell. 29: 755-66. PMID: 18374649
  9. 피어폰트 증후군의 TBL1XR1 돌연변이는 재발성 p.Tyr446Cys 돌연변이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  Lemattre, C., et al. 2018. Am J Med Genet A. 176: 2813-2818. PMID: 30365874
  10. 신경발달 장애에서 TBL1XR1의 유전자형 및 표현형 상관관계.  |  Quan, Y., et al. 2020. J Mol Neurosci. 70: 2085-2092. PMID: 32524419
  11. TBL1XR1 돌연변이는 친종양성 기억 운명을 유도하여 림프절 외 림프종을 유발합니다.  |  Venturutti, L., et al. 2020. Cell. 182: 297-316.e27. PMID: 32619424
  12. TBL1XR1 신규 변이체와 관련된 유전자형 및 표현형 스펙트럼 확장.  |  Ren, M., et al. 2023. Gene. 886: 147777. PMID: 37683765

주문정보

제품명카탈로그 번호 단위가격수량관심품목

TBL1XR1 항체 (L-08)

sc-100908
50 µg/0.5 ml
$333.00

TBL1XR1 (L-08): m-IgG Fc BP-HRP 번들

sc-539721
50 µg Ab; 10 µg BP
$354.00

TBL1XR1 (L-08): m-IgG1 BP-HRP 번들

sc-541669
50 µg Ab; 20 µg BP
$354.00

How can TBL1XR1 (L-08): sc-100908 monoclonal antibody be used for double or triple staining, if the other primary antibodies are also raised in mouse?

Asked by: jenni
Thank you for your question We recommend using a a directly conjugated primary antibodies. Please contact our special orders department for pricing and availability of sc-100908 conjugates.
Answered by: Santa Cruz TS
Date published: 2017-01-30
  • y_2025, m_9, d_5, h_6CST
  • bvseo_bulk, prod_bvqa,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questionsanswers, tq_1
  • loc_ko_KR, sid_100908, prod, sort_[SortEntry(order=LAST_APPROVED_ANSWER_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Content, 118ms
  • QUESTIONS, PRODUCT
Rated 5 out of 5 by from Produced publishable WB data on humanWell characterized TBL1XR1 antibody with half a dozen WB citations in the primary literature on HeLa, RS4 cells, Reh cells, MCF10A and UOCB1 cells.
Date published: 2017-01-12
Rated 5 out of 5 by from Works very goodWorks very good. -SCBT Publication Review
Date published: 2016-04-19
Rated 4 out of 5 by from Produced clear immunoperoxidase nuclear stainingProduced clear immunoperoxidase nuclear staining in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human cerebral cortex tissue. -SCBT QC
Date published: 2015-01-02
  • y_2025, m_9, d_5, h_6
  • bvseo_bulk, prod_bvrr,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reviews, tv_1, tr_3
  • loc_ko_KR, sid_100908, prod, sort_[SortEntry(order=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Reviews, 18ms
  • REVIEWS, PRODUCT
TBL1XR1 항체 (L-08) is rated 4.5 out of 5 by 4.
  • y_2025, m_9, d_5, h_6
  • bvseo_bulk, prod_bvrr,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reviews, tv_1, tr_3
  • loc_ko_KR, sid_100908, prod, sort_[SortEntry(order=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AggregateRating, 131ms
  • REVIEWS,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