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published: 2025-9-9

001 800-1338-3838

SCBT Portrait Logo
Seach Input

MSH2 항체 (25D12): sc-56163

4.3(4)
리뷰 쓰기질문하기

데이터 시트
  • MSH2 항체 25D12 는 마우스 monoclonal IgG1, 5간행물에 인용, 이며 250 µl supernatant으로 제공합니다.
  • human의 전체 길이 재조합 MSH2에 대해 제기됨
  • WB, IP, IF, IHC(P) 와ELISA으로 human origin의 MSH2을 검출할것을 권장합니다.
  • 현재 MSH2 항체(25D12)에 대해 선호하는 2차 검출 시약의 식별을 아직 완료하지 못했습니다. 이 작업은 진행 중입니다.

빠른 링크

더보기

MSH2 항체(25D12)는 WB, IP, IF, IHC(P) 및 ELISA에 의해 인간 기원의 MSH2를 검출하는 IgG1 마우스 단일 클론 MSH2 항체이다. MSH2 항체(25D12)는 비결합 항-MSH2 항체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DNA 불일치 복구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유전성 비 용종성 대장암 (HNPCC)과 관련이 있다는 발견은 DNA 불일치 복구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에 상당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초기에 박테리아 DNA 불일치 복구 유전자 MutS 및 MutL의 MSH2 및 MLH1 상동체의 유전된 돌연변이는 HNPCC에서 고주파수로 입증되었으며 미세 위성 불안정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췌장, 위, 유방, 난소 및 소세포 폐암의 10~45%도 미세 위성 불안정성을 나타낸다는 입증은 DNA 불일치 복구가 HNPCC 종양에 국한되지 않고 종양 시작 또는 진행의 일반적인 특징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PMS1 및 PMS2로 명명된 원핵생물 MutL 유전자의 두 개의 추가 상동체가 확인되었으며 HNPCC 환자의 생식선에서 돌연변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용으로만 사용가능합니다. 진단이나 치료용으로 사용불가합니다.

Alexa Fluor®는 미국 오리건주 Molecular Probes Inc.의 상표입니다.

LI-COR®와 Odyssey®는 LI-COR Biosciences의 등록 상표입니다.

MSH2 항체 (25D12) 참고문헌:

  1. 대장암 환자의 MLH1과 MSH2 돌연변이 검출을 위한 전환 분석.  |  Casey, G., et al. 2005. JAMA. 293: 799-809. PMID: 15713769
  2. MSH2와 MLH1의 돌연변이 스펙트럼과 빈도는 유전성 비대장용종성 대장암으로 의심되는 1,721명의 독일인 가족에서 확인되었습니다.  |  Mangold, E., et al. 2005. Int J Cancer. 116: 692-702. PMID: 15849733
  3. 린치 증후군에서 MLH1, MSH2, MSH6 유전자의 생식세포 돌연변이와 관련된 암 위험.  |  Bonadona, V., et al. 2011. JAMA. 305: 2304-10. PMID: 21642682
  4. 린치 증후군 위험을 유발하는 MSH2 미스센스 변이체의 대규모 병렬 기능 테스트.  |  Jia, X., et al. 2021. Am J Hum Genet. 108: 163-175. PMID: 33357406
  5. MSH2와 MSH3의 발현이 증가하면 생체 내 DNA 대사에 지장을 줍니다.  |  Medina-Rivera, M., et al. 2023. Nucleic Acids Res. 51: 12185-12206. PMID: 37930834
  6. 효모에서 DNA 불일치 복구가 시작되는 동안의 MLH1, PMS1 및 MSH2 상호 작용.  |  Prolla, TA., et al. 1994. Science. 265: 1091-3. PMID: 8066446
  7.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에서 두 개의 PMS 동족체의 돌연변이.  |  Nicolaides, NC., et al. 1994. Nature. 371: 75-80. PMID: 8072530
  8. 불일치 복구와 암.  |  Palombo, F., et al. 1994. Nature. 367: 417. PMID: 8107798
  9. 유전성 대장암에서 mutL 동족체의 돌연변이.  |  Papadopoulos, N., et al. 1994. Science. 263: 1625-9. PMID: 8128251
  10. DNA 불일치 복구 유전자 상동체 hMLH1의 돌연변이는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과 관련이 있습니다.  |  Bronner, CE., et al. 1994. Nature. 368: 258-61. PMID: 8145827
  11. 인간 대장암에 걸리기 쉬운 유전자좌의 유전자 매핑.  |  Peltomäki, P., et al. 1993. Science. 260: 810-2. PMID: 8484120
  12. 단순 반복 염기서열의 유비쿼터스 체세포 돌연변이가 대장 발암의 새로운 메커니즘을 밝혀냈습니다.  |  Ionov, Y., et al. 1993. Nature. 363: 558-61. PMID: 8505985

주문정보

제품명카탈로그 번호 단위가격수량관심품목

MSH2 항체 (25D12)

sc-56163
250 µl supernatant
$316.00

Is this MSH2 Antibody (25D12): sc-56163 mouse monoclonal antibody make reactivity on human tissue?

Asked by: OzdeGokbayrak
Thank you for your question. MSH2 Antibody (25D12): sc-56163 is recommended for detection of MSH2 of human origin by WB, IP, IF, IHC(P) and ELISA.
Answered by: Tech Support Europe
Date published: 2024-03-28

Can sc-56163: MSH2 (25D12) monoclonal antibody be used to stain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FFPE) tissue sections?

Asked by: Professor Griffin
Thank you for your question. Yes, sc-56163: MSH2 (25D12) is recommended for use in IHC with paraffin-embedded sections. We recommend performing antigen retrieval with sodium citrate buffer (pH 6) and heat. The full protocol can be found here: https://www.scbt.com/scbt/resources/protocols/immunoperoxidase-staining
Answered by: Technical Support
Date published: 2017-03-24
  • y_2025, m_9, d_8, h_8CST
  • bvseo_bulk, prod_bvqa,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questionsanswers, tq_2
  • loc_ko_KR, sid_56163, prod, sort_[SortEntry(order=LAST_APPROVED_ANSWER_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Content, 107ms
  • QUESTIONS, PRODUCT
Rated 5 out of 5 by from Good for Western BlotThis antibody has been used for western blotting in published research. -SCBT QC
Date published: 2023-09-14
Rated 4 out of 5 by from Strong band in WB in HeLa whole cell lysateStrong band in WB in HeLa whole cell lysate. -SCBT QC
Date published: 2015-07-07
Rated 4 out of 5 by from Robust signal in WB in ARobust signal in WB in A-431 and SW480 whole cell lysates and A-431, U-937, MOLT-4 and SW480 nuclear extracts. -SCBT QC
Date published: 2015-02-06
Rated 4 out of 5 by from WB publishable data with human colorectalWB publishable data with human colorectal cancer cell lines (SW480, LoVo, HCT116), Lymphocytes, immortalized lymphocytes, colon cancer cell lines (SW480, LoVo, HCT116) - SCBT Publication Review
Date published: 2014-06-23
  • y_2025, m_9, d_8, h_8
  • bvseo_bulk, prod_bvrr,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reviews, tv_0, tr_4
  • loc_ko_KR, sid_56163, prod, sort_[SortEntry(order=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Reviews, 16ms
  • REVIEWS, PRODUCT
MSH2 항체 (25D12) is rated 4.3 out of 5 by 4.
  • y_2025, m_9, d_8, h_8
  • bvseo_bulk, prod_bvrr,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reviews, tv_0, tr_4
  • loc_ko_KR, sid_56163, prod, sort_[SortEntry(order=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AggregateRating, 120ms
  • REVIEWS,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