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published: 2025-9-9

001 800-1338-3838

SCBT Portrait Logo
Seach Input

LMO2 항체 (H-10): sc-514514

0.0(0)
리뷰 쓰기질문하기

데이터 시트
  • LMO2 항체(H-10) 는 마우스 monoclonal mouse IgG1 κ(kappa light chain) 이며 200 µg/ml으로 제공합니다.
  • human origin의 LMO2에서 N-terminus에 위치한 1-52 아미노산을 항원으로 사용하였습니다.
  • WB, IP, IF와 ELISA으로 mouse, rat와 human origin의 LMO2을 검출할것을 권장합니다.
  • See LMO2 (1A9-1): sc-65736 for additional antibody conjugates, including AC, HRP, FITC, PE, Alexa Fluor® 488, 594, 647, 680 and 790.
  • m-IgG Fc BP-HRP, 1 BP-HRP">m-IgG1 BP-HRPm-IgGκ BP-HRP는 LMO2 항체(H-10) WB 애플리케이션용입니다. 이 시약은 이제 LMO2 항체(H-10)와 함께 번들로 제공됩니다(아래 주문 정보 참조).

    빠른 링크

    더보기

    LIM 전용(LMO) 단백질인 LMO1과 LMO2는 보존된 LIM 도메인을 특징으로 하는 핵 인자입니다. LIM 도메인은 시스테인이 풍부한 아연 결합 모티프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추신경계에서 발현되고 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LIM 홈오박스(LHX) 단백질을 비롯한 다양한 전사인자에 존재합니다. LMO1과 LMO2는 성체 중추신경계에서 세포 유형에 특이적인 방식으로 발현되며, 신경세포 활동에 따라 차별적으로 조절되고 신경세포의 세포 분화 표현형을 조절하는 데 관여합니다. LMO2는 특정 DNA 결합 호모박스 도메인이 없지만 전사 조절 복합체로 조립되어 널리 발현되는 핵 LIM 인터랙터(NLI)와 상호 작용하여 유전자 발현을 매개합니다. CLIM-1이라고도 알려진 NLI와 관련 단백질 CLIM-2는 헤테로메릭 LIM 복합체의 형성을 촉진하고 LIM 단백질의 핵 보유를 강화합니다. LMO2와 관련 단백질 LMO4는 흉선 전구세포에서 발현됩니다. LMO4는 성숙한 T세포, 두개골 신경 볏 세포, 소미트, 등지느러미 새싹 중간엽, 운동 신경세포 및 슈반 세포 전구세포에서도 발현됩니다.

    연구용으로만 사용가능합니다. 진단이나 치료용으로 사용불가합니다.

    Alexa Fluor®는 미국 오리건주 Molecular Probes Inc.의 상표입니다.

    LI-COR®와 Odyssey®는 LI-COR Biosciences의 등록 상표입니다.

    LMO2 항체 (H-10) 참고문헌:

    1. LMO2와 BCL6는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에서 생존율 향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  Lossos, C., et al. 2014. Br J Haematol. 165: 640-8. PMID: 24571259
    2. Lmo2(LIM 도메인 전용 2)는 Sphk1(스핑고신 키나아제)을 조절하고 내피 세포 이동을 촉진합니다.  |  Matrone, G., et al. 2017.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37: 1860-1868. PMID: 28775072
    3. 탈아세틸화에 의한 LMO2 활성화는 조혈 및 T-ALL 백혈구 생성에 필수적입니다.  |  Morishima, T., et al. 2019. Blood. 134: 1159-1175. PMID: 31366618
    4. 테트라사이클린 조절 LMO2 발현을 통한 림프 전구세포의 조건부 불멸화.  |  Koniaeva, E., et al. 2020. Hum Gene Ther. 31: 183-198. PMID: 31760808
    5. LMO2는 영양막 아형에서 차별적인 역할을 하며 자간전증과 관련이 있습니다.  |  Chen, Y., et al. 2022. Biochem Biophys Res Commun. 604: 43-50. PMID: 35286869
    6. LMO2 발현은 T-림프모구 백혈병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며 T세포 단계와 관계없이 생존과 관련이 있습니다.  |  Latchmansingh, KA., et al. 2022. Mod Pathol. 35: 1220-1226. PMID: 35322192
    7. 세포질 LMO2-LDB1 복합체는 신경교종 줄기세포에서 gp130-JAK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STAT3 신호를 활성화합니다.  |  Park, CG., et al. 2022. Cells. 11: PMID: 35805116
    8. T 계통의 발달 및 백혈병 형질 전환 과정에서의 LMO2 병원성 조절 프로파일을 종합적으로 분석합니다.  |  Wang, W., et al. 2022. Oncogene. 41: 4079-4090. PMID: 35851847
    9. 혈관계에 통합되어 전이를 시작하는 LMO2+ 유방암 세포의 소수 집단을 확인했습니다.  |  Sikandar, SS., et al. 2022. Sci Adv. 8: eabm3548. PMID: 36351009
    10. LMO2는 전사 공동 조절자인 LDB1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AML의 발생을 촉진합니다.  |  Lu, L., et al. 2023. Cell Death Dis. 14: 518. PMID: 37573405

    주문정보

    제품명카탈로그 번호 단위가격수량관심품목

    LMO2 항체 (H-10)

    sc-514514
    200 µg/ml
    $316.00

    LMO2 (H-10): m-IgG Fc BP-HRP 번들

    sc-538656
    200 µg Ab; 10 µg BP
    $354.00

    LMO2 (H-10): m-IgGκ BP-HRP 번들

    sc-536309
    200 µg Ab; 40 µg BP
    $354.00

    LMO2 (H-10): m-IgG1 BP-HRP 번들

    sc-545816
    200 µg Ab; 20 µg BP
    $35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