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published: 2025-9-8

001 800-1338-3838

SCBT Portrait Logo
Seach Input

JAM-B 항체 (1G4): sc-293496

3.0(2)
리뷰 쓰기질문하기

데이터 시트
  • JAM-B 항체 1G4 는 마우스 monoclonal IgG1 κ JAM-B 항체, 3간행물에 인용, 이며 100 µg/ml으로 제공합니다.
  • human origin의 JAM-B의 29-298 아미노산을 항원으로 사용하였습니다.
  • WB, IP, IF, IHC(P) 와ELISA으로 human origin의 JAM-B을 검출할것을 권장합니다.
  • JAM-B (1G4): sc-293496무료10 µg 샘플을 신청하려면 기술지원팀 (또는 로컬 디스트리뷰터)에 연락주세요.
  • 현재 JAM-B 항체(1G4)에 대해 선호하는 2차 검출 시약의 식별을 아직 완료하지 못했습니다. 이 작업은 진행 중입니다.

빠른 링크

더보기

JAM-B 항체(1G4)는 웨스턴 블롯(WB), 면역침전법(IP), 면역형광법(IF), 파라핀 포매 절편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IHCP), 효소결합 면역흡착 분석법(ELISA)을 통해 인간 유래의 JAM-B 단백질을 검출하는 마우스 단일클론 IgG1 kappa 경쇄 항체입니다. 항-JAM-B 항체(1G4)는 비접합 형태로 이용 가능합니다. 접합부 부착 분자 B(JAM-B)는 면역글로불린 슈퍼패밀리의 중요한 구성원이며, 주로 상피세포와 내피세포의 단단한 접합부에서 발현되는데, 이때 JAM-B는 장벽의 완전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JAM-B는 백혈구의 내피세포 투과 이동에 필수적이며, 이는 면역 반응과 염증에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JAM-B는 순환하는 단핵구, 호중구, 림프구 하위 집합체, 혈소판을 포함한 다양한 면역 세포에서 항상 발현되어, 면역 세포의 이동과 접착에 있어서 JAM-B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JAM-A, JAM-B, JAM-C를 포함하는 JAM 계열은 동종 및 이종 상호 작용을 통한 세포-세포 접착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JAM-B는 JAM-C와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염증 반응 동안 T 세포의 부착과 이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능적 관계를 시사합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T, 자연살해세포, 수지상세포 매개 염증과 특히 관련이 있기 때문에, JAM-B는 면역 조절과 잠재적 치료 개입과 관련된 연구에서 중요한 표적이 됩니다.

연구용으로만 사용가능합니다. 진단이나 치료용으로 사용불가합니다.

Alexa Fluor®는 미국 오리건주 Molecular Probes Inc.의 상표입니다.

LI-COR®와 Odyssey®는 LI-COR Biosciences의 등록 상표입니다.

JAM-B 항체 (1G4) 참고문헌:

  1. 최첨단: TNF-알파와 IFN-감마의 병용 치료는 인간 내피 세포에서 접합부 접착 분자의 재분배를 유발합니다.  |  Ozaki, H., et al. 1999. J Immunol. 163: 553-7. PMID: 10395639
  2. 접합부 접착 분자는 PDZ 도메인 함유 단백질 AF-6 및 ZO-1과 상호 작용합니다.  |  Ebnet, K., et al. 2000. J Biol Chem. 275: 27979-88. PMID: 10856295
  3. 접합부 접착 분자의 상동성 상호 작용.  |  Bazzoni, G., et al. 2000. J Biol Chem. 275: 30970-6. PMID: 10913139
  4. 접합부착분자(JAM)는 혈소판 활성화 시 단백질 키나아제 C에 의해 인산화됩니다.  |  Ozaki, H., et al. 2000. Biochem Biophys Res Commun. 276: 873-8. PMID: 11027562
  5. 내피 접합부의 분자 조직과 혈관 형태 형성 및 투과성에서의 기능적 역할.  |  Dejana, E., et al. 2000. Int J Dev Biol. 44: 743-8. PMID: 11061439
  6. 인간 접합부 접착 분자 3(JAM3)의 복제와 JAM2 카운터 수용체로서의 동정.  |  Arrate, MP., et al. 2001. J Biol Chem. 276: 45826-32. PMID: 11590146
  7. 혈관 내피-접합부 접착 분자(VE-JAM)/JAM 2는 JAM 3을 통해 T, NK, 수지상 세포와 상호작용합니다.  |  Liang, TW., et al. 2002. J Immunol. 168: 1618-26. PMID: 11823489
  8. JAM2는 알파4베타1과 상호작용합니다. JAM3에 의한 촉진.  |  Cunningham, SA., et al. 2002. J Biol Chem. 277: 27589-92. PMID: 12070135
  9. 접합부 접착 분자-2(JAM-2)는 림프구 내피 세포 이동을 촉진합니다.  |  Johnson-Léger, CA., et al. 2002. Blood. 100: 2479-86. PMID: 12239159
  10. 세포 간 접합부에 분포하며 단핵구 이동을 조절하는 면역 글로불린 슈퍼 계열의 새로운 구성원인 접합부 접착 분자입니다.  |  Martìn-Padura, I., et al. 1998. J Cell Biol. 142: 117-27. PMID: 9660867

주문정보

제품명카탈로그 번호 단위가격수량관심품목

JAM-B 항체 (1G4)

sc-293496
100 µg/ml
$316.00

Hi, I would like to order JAM-B antibody as it has worked so well for my experiments and I was wondering whether you would be able to offer me a discounted quote. Many thanks Priscilla

Asked by: PDay
Thank you for your question. Please contact customercare so we can send you a quote.
Answered by: Tech Support Europe
Date published: 2020-08-17

Can sc-293496: JAM-B (1G4) monoclonal antibody be used to stain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FFPE) tissue sections?

Asked by: cjMara
Thank you for your question. Yes, sc-293496: JAM-B (1G4) is recommended for use in IHC with paraffin-embedded sections. We recommend performing antigen retrieval with sodium citrate buffer (pH 6) and heat. The full protocol can be found here: https://www.scbt.com/scbt/resources/protocols/immunoperoxidase-staining
Answered by: Technical Support
Date published: 2022-07-29
  • y_2025, m_9, d_7, h_4CST
  • bvseo_bulk, prod_bvqa,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questionsanswers, tq_2
  • loc_ko_KR, sid_293496, prod, sort_[SortEntry(order=LAST_APPROVED_ANSWER_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Content, 100ms
  • QUESTIONS, PRODUCT
Rated 5 out of 5 by from Good for IFAntibody works for immunofluorescense staining cell staining with THP-1 cells in published research. -SCBT QC
Date published: 2023-09-14
Rated 1 out of 5 by from Did not work for IHCThis antibody was generously given to me by the trials program. I found that it does not work for IHC in retinal tissue. I compared Methanol fixation and PFA fixation, and used the antibody at both 1:50 and 1:250. I didn't have any positive staining with either whole mount or cross-sections. Thank you for the trial.
Date published: 2018-03-14
  • y_2025, m_9, d_7, h_4
  • bvseo_bulk, prod_bvrr,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reviews, tv_0, tr_2
  • loc_ko_KR, sid_293496, prod, sort_[SortEntry(order=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Reviews, 21ms
  • REVIEWS, PRODUCT
JAM-B 항체 (1G4) is rated 3.0 out of 5 by 2.
  • y_2025, m_9, d_7, h_4
  • bvseo_bulk, prod_bvrr,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reviews, tv_0, tr_2
  • loc_ko_KR, sid_293496, prod, sort_[SortEntry(order=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AggregateRating, 110ms
  • REVIEWS,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