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published: 2025-9-7

001 800-1338-3838

SCBT Portrait Logo
Seach Input

J 113863 (CAS 353791-85-2)

0.0(0)
리뷰 쓰기질문하기

인용논문 보기 (1)

대체 이름:
1,4-cis-1-(1-Cycloocten-1-ylmethyl)-4-[[(2,7-dichloro-9H-xanthen-9-yl)carbonyl]amino]-1-ethylpiperidinium iodide
적용:
J 113863 는 강력한 CCR1 케모카인 수용체 길항제입니다.
CAS 등록번호:
353791-85-2
순도:
≥98%
분자량:
655.44
분자식:
C30H37Cl2IN2O2
연구용으로만 사용가능합니다. 진단이나 치료용으로 사용불가합니다.
Available in US only.
* 참조분석증명서대량의 측정 데이터(함수량포함).

빠른 링크

J 113863은 주로 케모카인 수용체 연구에 초점을 맞춘 생화학 연구, 특히 CCR2(케모카인 수용체 2형)의 강력한 길항제로 사용됩니다. 이 화합물은 면역 세포 이동과 염증에서 CCR2의 역할을 규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자들은 J 113863을 사용하여 케모카인에 의한 병리의 기초가 되는 분자 메커니즘을 탐구하고 CCR2의 조절이 면역계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조사합니다. J 113863을 사용한 연구를 통해 얻은 통찰력은 염증 과정과 면역 반응 조절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이 화합물은 과도한 염증 반응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을 관리할 때 케모카인 수용체를 표적으로 삼을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는 데 사용됩니다.


J 113863 (CAS 353791-85-2) 참고자료

  1. 케모카인 수용체 CCR1 및 CCR3의 저분자 길항제입니다. 호산구 기능 및 CCR3 매개 HIV-1 진입을 강력하게 억제합니다.  |  Sabroe, I., et al. 2000. J Biol Chem. 275: 25985-92. PMID: 10854442
  2. CCR1의 약리학적 차단은 생쥐 관절염을 개선하고 생체 내 사이토카인 네트워크를 변화시킵니다.  |  Amat, M., et al. 2006. Br J Pharmacol. 149: 666-75. PMID: 17016504
  3. 척추 CCL2와 미세아교세포 활성화는 파클리탁셀로 유발된 감기 통각 과민증에 관여합니다.  |  Pevida, M., et al. 2013. Brain Res Bull. 95: 21-7. PMID: 23562605
  4. 케모카인(C-C 모티브) 수용체 1은 변형 백시니아 바이러스 앙카라에 의한 호흡기 감염 시 호중구를 효율적으로 모집하는 데 필요합니다.  |  Price, PJ., et al. 2014. J Virol. 88: 10840-50. PMID: 25008920
  5. 백시니아 바이러스가 아닌 변형된 백시니아 바이러스 앙카라는 단핵구/대식세포 계통의 세포에서 케모카인 발현을 유도합니다.  |  Lehmann, MH., et al. 2015. Virol J. 12: 21. PMID: 25889495
  6. 케모카인 수용체 CCR2 및 CCR5에서 합성 거울상 이성질체 J113863/UCB35625의 부분 작용제 및 편향된 신호 특성.  |  Corbisier, J., et al. 2017. J Biol Chem. 292: 575-584. PMID: 27895119
  7. 마우스에 CCL5를 급성 투여하여 유발된 통각과민 및 통각저하 메커니즘.  |  González-Rodríguez, S., et al. 2017. Brain Behav Immun. 62: 151-161. PMID: 28126501
  8. 당뇨병성 신경병증 발병에 대식세포 염증성 단백질-1 계열의 관여 및 모르핀 효과에 대한 기여.  |  Rojewska, E., et al. 2018. Front Immunol. 9: 494. PMID: 29593735
  9. 생쥐에서 항통각 효과를 유발하는 케모카인 CCL4(MIP-1β): CD4+ 림프구 및 메트-엔케팔린의 역할.  |  García-Domínguez, M., et al. 2019. Mol Neurobiol. 56: 1578-1595. PMID: 29907903
  10. CC 케모카인 수용체 1형의 차단은 신경병증성 통증의 쥐 모델에서 통각 인자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오피오이드 진통 효능을 향상시킵니다.  |  Pawlik, K., et al. 2020. Immunology. 159: 413-428. PMID: 31919846
  11. 염증성 통증 마우스에서 유슈-비 정제의 진통 효과: 척수로의 CCL3 매개 대식세포 이동을 억제합니다.  |  Zhang, G., et al. 2022. J Ethnopharmacol. 289: 115051. PMID: 35101573
  12. CCR1 길항제는 뇌와 말초의 Th9/Th22 관련 마커를 억제하여 실험적 자가면역성 뇌척수염을 개선합니다.  |  Al-Mazroua, HA., et al. 2022. Mol Immunol. 144: 127-137. PMID: 35219910
  13. CCR1 길항제 J-113863은 재발 완화형 다발성 경화증의 SJL/J 마우스 모델에서 염증성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불균형을 바로잡습니다.  |  Ansari, MA., et al. 2022. Immunobiology. 227: 152245. PMID: 35868215
  14. JAK 억제는 성숙한 파골세포와 그 전구체를 동시에 표적으로 삼아 뼈 파괴를 개선합니다.  |  Yari, S., et al. 2023. Inflamm Regen. 43: 18. PMID: 36869390
  15. MIP-1 계열과 그 수용체의 약리학적인 조절이 신경병증성 통증 증상을 줄이고 모르핀 진통에 영향을 미침: 마우스 모델의 증거.  |  Ciechanowska, A., et al. 2023. Brain Sci. 13: PMID: 37190544

주문정보

제품명카탈로그 번호 단위가격수량관심품목

J 113863, 1 mg

sc-203611
1 mg
$107.00
US: 미국에서만 사용 가능

J 113863, 10 mg

sc-203611A
10 mg
$440.00
US: 미국에서만 사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