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published: 2025-9-9

001 800-1338-3838

SCBT Portrait Logo
Seach Input

Giantin 항체 (2388C3a): sc-81279

4.0(3)
리뷰 쓰기질문하기

데이터 시트
  • Giantin 항체 2388C3a 는 마우스 monoclonal IgG1 κ Giantin 항체, 1간행물에 인용, 이며 100 µg/ml으로 제공합니다.
  • 부분 재조합 단백질 mappein에 대해 제기됨 아미노산 의 Giantin의 human 기원
  • WB 와IP으로 human origin의 Giantin을 검출할것을 권장합니다.
  • 현재 Giantin 항체(2388C3a)에 대해 선호하는 2차 검출 시약의 식별을 아직 완료하지 못했습니다. 이 작업은 진행 중입니다.

빠른 링크

더보기

자이언틴 항체(2388C3a)는 IgG1 κ 마우스 단일 클론 자이언틴 항체(GOGB1 항체, 골긴 B1 항체, GCP372 항체, 골지 자가 항원 골긴 서브 패밀리 B 마크로골긴 1 항체, 골긴 B1 골지 일체형 막 단백질 항체로도 지정됨)입니다, 372 KDa 골지 복합체 관련 단백질 항체, 골지 일체막 단백질 1 항체, 골긴 서브패밀리 B 멤버 1 항체, 마크로골긴 항체, GOLIM1 또는 GCP 항체)로 인간 유래의 Giantin 단백질을 WB 및 IP로 검출합니다. 자이언틴 항체(2388C3a)는 비접합 항 자이언틴 항체로 제공됩니다. 시스-골지 매트릭스 단백질인 GM130은 p115와 특이적으로 상호작용하며 막 도킹 부위를 제공합니다. GM130과 p115는 모두 소포체가 골지막에 테더링하는 데 관여합니다. 단백질 p115는 자이언틴이라고도 불리는 p400과도 결합합니다. 대부분의 질량이 세포질로 돌출되는 자이언틴은 p115를 통해 COPI 소포가 골지막에 고정되는 데 관여합니다. 마크로골긴 또는 골지 복합체 관련 단백질로도 알려진 자이언틴은 골지 복합체에서 교차 가교 형성에 관여합니다. 호모다이머를 형성할 수 있는 자이언틴은 쇼그렌 증후군과 만성 류마티스 관절염의 항원으로 작용하는 단일 통과 유형 I 막 단백질입니다.

연구용으로만 사용가능합니다. 진단이나 치료용으로 사용불가합니다.

Alexa Fluor®는 미국 오리건주 Molecular Probes Inc.의 상표입니다.

LI-COR®와 Odyssey®는 LI-COR Biosciences의 등록 상표입니다.

Giantin 항체 (2388C3a) 참고문헌:

  1. 단백질 수송 및 메신저 RNA 처리 경로에 대한 자가 항체: 엔도좀, 리소좀, 골지 복합체, 프로테아좀, 어셈블로좀, 엑소좀 및 GW 바디.  |  Stinton, LM., et al. 2004. Clin Immunol. 110: 30-44. PMID: 14962794
  2. 골지체에서 자이안틴에 대한 순환 자가항체를 가진 진행성 근병증.  |  Sahashi, K., et al. 2004. Neurology. 62: 1891-3. PMID: 15159505
  3. 이노시톨 폴리포스페이트 5-인산효소 Ocrl은 클라트린으로 부분적으로 코팅된 엔도솜과 결합합니다.  |  Ungewickell, A., et al. 2004. Proc Natl Acad Sci U S A. 101: 13501-6. PMID: 15353600
  4. 골긴 테더는 COPI 소포의 하위 집단을 정의합니다.  |  Malsam, J., et al. 2005. Science. 307: 1095-8. PMID: 15718469
  5. p115 테더링 단백질의 비밀스러운 Rab1 결합 부위.  |  Beard, M., et al. 2005. J Biol Chem. 280: 25840-8. PMID: 15878873
  6. 자이언틴 녹아웃 모델은 골지 기능과 글리코실 트랜스퍼라제 발현 사이의 피드백 루프를 밝혀냈습니다.  |  Stevenson, NL., et al. 2017. J Cell Sci. 130: 4132-4143. PMID: 29093022
  7. 자이언틴은 연골 생성 과정에서 아그레칸, 링크 단백질 및 제11형 콜라겐을 조화롭게 생성하는 데 필요합니다.  |  Katayama, K., et al. 2018. Biochem Biophys Res Commun. 499: 459-465. PMID: 29577904
  8. 자이언틴은 간세포의 알코올 후 골지 회복에 필요합니다.  |  Casey, CA., et al. 2018. Biomolecules. 8: PMID: 30453527
  9. 골긴 단백질 자이언틴은 골지체 스택 간의 상호 연결을 조절합니다.  |  Satoh, A., et al. 2019. Front Cell Dev Biol. 7: 160. PMID: 31544102
  10. 자이언틴은 제1형 프로콜라겐의 세포 내 N-말단 처리에 필요합니다.  |  Stevenson, NL., et al. 2021. J Cell Biol. 220: PMID: 33944912
  11. 376킬로달톤 골지 복합체 막 단백질(자이언틴)의 분자유전학적 분석.  |  Seelig, HP., et al. 1994. Mol Cell Biol. 14: 2564-76. PMID: 7511208
  12. 골지 복합체에 국한된 인간 372-kDA 단백질의 분자 클로닝 및 서열 분석.  |  Sohda, M., et al. 1994.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5: 1399-408. PMID: 7802676

주문정보

제품명카탈로그 번호 단위가격수량관심품목

Giantin 항체 (2388C3a)

sc-81279
100 µg/ml
$333.00

Could you answer the question about the epitope here? What is the range of amino acids used as antigen? Just rough range is fine.

Asked by: Not Maohan
Thank you for your question. The antibody was not epitope mapped . Here is the uniprot page for more information on the protein: https://www.uniprot.org/uniprotkb/Q14789/entry
Answered by: BlakeJ
Date published: 2024-05-02

Could you tell me the epitopes of the antigen? Just rough range is fine. I need to map where the antibody binds at Giantin. Thank you!

Asked by: Not Maohan
Thank you for your question. It would be helpful if you could call us directly at 800-457-3801 ext.1, allowing for a more interactive discussion of this and other related questions.
Answered by: Blake J
Date published: 2024-05-01

I am using Giantin (2388C3a): sc-81279 antibody for immunoprecipitation, how much antibody should I use?

Asked by: Randy McDonald
Thank you for your question. We recommend using 1–10 µl (i.e., 0.2–2 µg) of antibody with 1 ml of cell lysate. However, optimal antibody concentra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itration. Please find our full immunoprecipitation protocol here: https://www.scbt.com/scbt/resources/protocols/immunoprecipitation-western-blots
Answered by: Technical Support
Date published: 2017-03-24
  • y_2025, m_9, d_8, h_8CST
  • bvseo_bulk, prod_bvqa,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questionsanswers, tq_3
  • loc_ko_KR, sid_81279, prod, sort_[SortEntry(order=LAST_APPROVED_ANSWER_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Content, 111ms
  • QUESTIONS, PRODUCT
Rated 5 out of 5 by from Good for Western BlotAntibody detects human recombinant Giantin by Western blot. -SCBT QC
Date published: 2023-09-14
Rated 4 out of 5 by from Published immunofluorescence data using HepG2Published immunofluorescence data using HepG2 and MDCK cells. -SCBT Publication Review
Date published: 2015-06-17
Rated 3 out of 5 by from Clean band present in western Blot analysisClean band present in western Blot analysis of human recombinant Giantin fusion protein. -SCBT QC
Date published: 2014-01-08
  • y_2025, m_9, d_8, h_8
  • bvseo_bulk, prod_bvrr,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reviews, tv_0, tr_3
  • loc_ko_KR, sid_81279, prod, sort_[SortEntry(order=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Reviews, 17ms
  • REVIEWS, PRODUCT
Giantin 항체 (2388C3a) is rated 4.0 out of 5 by 3.
  • y_2025, m_9, d_8, h_8
  • bvseo_bulk, prod_bvrr, vn_bulk_3.0.42
  • cp_1, bvpage1
  • co_hasreviews, tv_0, tr_3
  • loc_ko_KR, sid_81279, prod, sort_[SortEntry(order=SUBMISSION_TIME, direction=DESCENDING)]
  • clientName_scbt
  • bvseo_sdk, java_sdk, bvseo-4.0.0
  • CLOUD, getAggregateRating, 116ms
  • REVIEWS,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