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 증후군은 상염색체 열성 질환으로 출생 전후의 성장 결핍, 햇빛 민감성, 면역 결핍 및 다양한 암에 걸리기 쉬운 특징이 있습니다. 블룸증후군을 일으키는 유전자 BLM은 대장균의 RecQ 헬리카인과 상동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며, 대부분의 블룸증후군 환자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합니다. 블룸 증후군의 특징 중 하나는 자매 염색체 교환(SCE)의 빈도가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BLM은 G4 DNA를 풀어주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 기능의 실패가 SCE 발생률 증가의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BLM은 핵으로 전위되어 단일 가닥 및 이중 가닥 DNA 모두에 의해 ATPase 활성이 자극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BLM의 상동체인 효모 SGS1의 돌연변이는 블룸의 세포에서 관찰된 것과 유사한 유사 유사분열 과재결합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연구용으로만 사용가능합니다. 진단이나 치료용으로 사용불가합니다.
Alexa Fluor®는 미국 오리건주 Molecular Probes Inc.의 상표입니다.
LI-COR®와 Odyssey®는 LI-COR Biosciences의 등록 상표입니다.
BLM 항체 (4i317) 참고문헌:
- 블룸 증후군 단백질은 복제 포크 정지 후 RAD50/MRE11/NBS1 복합체의 올바른 재위치화에 필요합니다. | Franchitto, A. and Pichierri, P. 2002. J Cell Biol. 157: 19-30. PMID: 11916980
- 블룸 증후군의 임상적 특징과 원인 유전자 BLM 헬리카아제의 기능. | Kaneko, H. and Kondo, N. 2004. Expert Rev Mol Diagn. 4: 393-401. PMID: 15137905
- 전사체 및 단백질 발현 분석을 통해 유방암에서 블룸 증후군 헬리케이즈(BLM)의 임상병리학적 중요성이 밝혀졌습니다. | Arora, A., et al. 2015. Mol Cancer Ther. 14: 1057-65. PMID: 25673821
- 철수: 세포 사멸 중 블룸 증후군 단백질인 BLM의 선택적 절단. | Bischof, O., et al. 2020. J Biol Chem. 295: 16905. PMID: 33277404
- 블룸 증후군 헬리카인 BLM과 Mcm6의 새로운 세포 주기 조절 상호작용이 복제 관련 과정을 제어합니다. | Shastri, VM., et al. 2021. Nucleic Acids Res. 49: 8699-8713. PMID: 34370039
- CDK1-TOPBP1-PLK1 축은 블룸 증후군 헬리카인 BLM을 조절하여 체세포에서 교차 재조합을 억제합니다. | Balbo Pogliano, C., et al. 2022. Sci Adv. 8: eabk0221. PMID: 35119917
- 대장암의 감작 치료를 위한 잠재적 블룸 증후군 단백질(BLM) 헬리카아제 억제제로서 N3 치환 퀴나졸리논 유도체의 설계, 합성 및 평가. | Tu, JL., et al. 2023. Eur J Med Chem. 246: 114944. PMID: 36459756
- PARP 억제제 내성 BRCA 돌연변이 난소암에서 CHK1 억제제 반응의 예측 바이오마커로서의 BLM 과발현. | Gupta, N., et al. 2023. Sci Transl Med. 15: eadd7872. PMID: 37343085
- PARP1은 전립선암에서 HSP90AB1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BLM의 전사를 부정적으로 조절합니다. | Huang, M., et al. 2023. J Transl Med. 21: 445. PMID: 37415147
- BLM(블룸 증후군의 원인 유전자) 단백질이 핵 국소화 신호에 의해 핵으로 전위됩니다. | Kaneko, H., et al. 1997. Biochem Biophys Res Commun. 240: 348-53. PMID: 9388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