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C2b 활성화제는 KCC2b 단백질의 칼륨:염화물 수송체 활성을 구체적으로 표적하거나 간접적으로 조절하는 다양한 종류의 분자를 나타냅니다. 이들은 세포에서 염화물 이온의 유출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세포의 삼투압 조절 및 부피 유지에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이러한 조절은 수송체에 직접 결합하여 활성 형태를 안정화하거나 KCC2b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세포 과정 및 경로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직접 활성화제 중 VU0240551은 KCC2에 대한 특이성이 두드러지며, 그 활성을 직접적으로 상향 조절하고 염화물 압출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반면 CLP290은 수송체의 활성 형태를 안정화하여 세포에서 염화물 이온의 유출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N-에틸말레이마이드(NEM)는 KCC2b와 직접 상호작용하여 활성 상태를 안정화함으로써 염화물 수송 활성을 증폭시킵니다. 이러한 형태의 조절은 직접적인 상호작용과 안정화를 통해 생리적 조건에서 수송체의 기능이 유지되거나 향상되도록 합니다.
또는 여러 화합물이 KCC2b의 기능과 교차하는 세포 경로 및 프로세스를 표적으로 삼아 조절을 달성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부메타나이드는 NKCC1을 억제하여 Cl-의 세포 내 농도를 감소시킵니다. 이는 다시 KCC2b의 활성을 증폭시켜 염화물 추출을 강화합니다. ML077과 하이드록시파수딜은 RhoA 신호 경로를 표적으로 삼습니다. ML077은 RhoA를 활성화하고 하이드록시파수딜은 Rho 키나아제를 억제하는 방식으로 신호 경로를 조절합니다. 두 경로 모두 KCC2b 활성의 상향 조절과 염화물 이온 추출 촉진으로 이어집니다. 아세타졸아마이드는 세포 내 pH를 조절하는 핵심 효소인 탄산탈수효소를 억제하는 독특한 메커니즘을 통해 작용합니다. pH가 많은 수송체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물질의 억제는 KCC2b 활성을 간접적으로 조절하여 염화물 이온 수송을 더욱 지원합니다. 마찬가지로, Hsp90인 17-DMAG는 발현을 상향 조절하고 혈장막의 안정성을 촉진하여 KCC2b를 간접적으로 강화합니다. 니플루믹산 및 DIDS와 같은 화합물은 세포 내의 광범위한 음이온 항상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니플루믹산은 Ca²⁺로 활성화된 Cl- 채널을 차단하여 KCC2b의 기능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반면, DIDS는 음이온 수송체 역할을 하여 세포의 전반적인 음이온 균형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KCC2b를 강화합니다. 마지막으로 환원제인 DTT는 티올 그룹과 상호 작용하여 KCC2b를 조절하여 트랜스포터 활동이 강화될 수 있는 길을 열어줍니다.
제품명 | CAS # | 카탈로그 번호 | 수량 | 가격 | 引用 | RATING |
---|---|---|---|---|---|---|
N-Ethylmaleimide | 128-53-0 | sc-202719A sc-202719 sc-202719B sc-202719C sc-202719D | 1 g 5 g 25 g 100 g 250 g | $22.00 $68.00 $210.00 $780.00 $1880.00 | 19 | |
활성 상태를 안정화시키는 직접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KCC2b의 활성을 향상시켜 염화물 이온 압출을 증가시킵니다. | ||||||
Acetazolamide | 59-66-5 | sc-214461 sc-214461A sc-214461B sc-214461C sc-214461D sc-214461E sc-214461F | 10 g 25 g 100 g 250 g 500 g 1 kg 2 kg | $79.00 $174.00 $425.00 $530.00 $866.00 $1450.00 $2200.00 | 1 | |
탄산 탈수 효소 억제제. 세포 내 pH를 조절하여 염화물 이온 수송을 강화하는 KCC2b 활성을 간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 ||||||
17-DMAG, Hydrochloride Salt | 467214-21-7 | sc-396751 | 25 mg | $306.00 | ||
KCC2b 기능을 간접적으로 강화하는 Hsp90 억제제. 억제된 Hsp90은 KCC2b의 발현을 상향 조절하고 막의 안정성을 촉진합니다. |